대전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가 지정됐다. 규제자유특구는 지역특성에 맞는 신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제를 패키지로 유예 면제 완화해주는 제도로 신산업의 테스트베드(시험장)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메카의 원조'로 불리는 대전과 잘 어울리는 조합이다. 대전 '바이오메디컬'은 지난 4월 정부의 1차 규제자유특구 지정에서는 탈락했던 터라 그 의미가 한층 더 새롭다.

그 당시 대전 '바이오메디컬'이 특구 지정으로부터 탈락할 때만해도 의약계에서는 의외라는 반응을 보였다. 대전에 바이오산업 생태계의 기반이 이미 탄탄하게 구축돼 있는데도 강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2000년 전후 1차 벤처 창업 붐과 함께 대덕특구 중심으로 민간기업 주도의 바이오클러스터가 구축된 이래 괄목할만한 성과를 잇따라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막상 지정 절차에서 배제됐던 것은, 대전시가 규제특례 등의 '디테일'에서 결정적으로 간과한 사안이 적지 않았던 탓이 크다.

이번 공모에서는 미진했던 분야에 대한 보강이 이뤄졌다. 바이오산업은 특성상 '생명윤리'와 충돌할 소지가 크다.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려면 오히려 규제를 강화해야 하는데 규제를 풀어주는 게 되느냐는 반론이 나온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바이오기업에 검체를 공급해주는 '인체유래물은행' 운영 방안 등 구체적 계획이 제시됐다. 인체유래물 연구의 심의를 신속하게 수행할 '대전 바이오뱅크 공동분양심의위원회(가칭)' 등의 설립 내용도 나왔다.

비이오헬스는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3대 국가 중점 육성 산업 가운데 하나다. 대덕특구가 바이오산업의 중심축 역할을 할 여건이 더욱 확고하게 구비돼가고 있다. 특구지역에서 실증화 사업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는 추진체계가 구축 가동돼야 하겠다. 구슬도 꿰어야 보배다. 대덕특구 중심의 산학연관 네트워크가 핵심이다. 일대에 집적된 특화기업이 300여곳에 달한다. 신약후보물질, 진단기기 등 기술 중심 특화기업이 규제 특례와 지원책에 힘입어 새로운 도약기를 맞았다. 바이오산업의 선도도시,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는 비전과 꿈을 확고하게 세우고 추진 역량을 모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