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이후 사업규모 6배 늘어… 인력은 ‘그대로’
인력충원·정책연구·거버넌스 구축 등 숙제 지적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전문가들은 문화자치와 문화분권 시대를 맞아 대전문화재단의 미래 10년은 모든 시민을 문화인으로 만드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를 위해선 크게 조직 내 인력충원, 정책연구 및 아카이빙, 거버넌스 구축 등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제안했다.

◆사업은 두배 이상 확장된 반면 인력은 그대로

대전문화재단 사업규모는 2010년 31억원에서 올해 189억으로 6배가량 확대됐지만 인력은 2014년 이후 50명 그대로다. 인력 충원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주를 이룬다.

정선기 대전문화재단 자문위원 겸 한국광역문화재단연합회 부설 문화정책연구소 위원은 “지원사업은 1차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화예술진흥에 대한 정책자문 및 교육 그리고 아카이크 사업은 미흡한 실정”이라며 “또 장기적으로 문화재단이 대행사업에서 직접사업으로 가야하는 변곡점에 위치해 있지만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선 인력 확대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실태조사와 연구, 아카이빙의 중요성

대전 문화예술계는 지역 연구자가 턱없이 부족하다. 이는 문화재단의 역할이 요구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정확한 실태조사와 다양한 연구를 기반으로 지역 여건에 맞는 문화예술 정책을 만들고 사업을 운영해야 한다.

박은영 도시여행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지역 내 문화예술 관련 아카이빙을 진행할 역량 있는 단체가 없는 상황에서 문화재단이 스스로 집행한 사업만을 기록하는 것은 아쉬움이 크다”며 “지역에서 이뤄진 다양한 문화예술 사업을 파악하고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기록하는 역할이 재단의 중요한 의제가 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대전형 문화운동’ 확산 필요

중앙정부는 ‘문화비전2030’을 필두로 문화자치와 문화분권의 중요성을 강하게 내세우면서도, ‘문예진흥기금 사태’에서 나타나듯 지역문화계의 현실은 더욱 더 어려워지고 있다.

모든 지역들이 문화분권, 문화자치를 이룩할 준비가 돼 있느냐를 물었을 땐 사실 딜레마다. 대부분 미흡한 수준이라 지역문화재단의 역할과 책임이 크게 강조될 수밖에 없다.

이런 시대 흐름 속 대전문화재단이 지난 10년간 확고한 역할과 위상을 갖지 못한 이유에 지역 문화운동의 약세도 포함된다.

한상헌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문화운동을 통해 다양하게 펼쳐지는 자발적 문화활동을 유기적으로 연대해 공론화 과정을 스스로 창출하고, 자칫 관성에 빠질 수 있는 지방정부와 문화재단에 끊임없이 채찍을 가하는 동시에 때로는 협업한다”며 “이로써 지역 공동 문화적 당면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거버넌스 체계를 주도할 수 있는 역량이 생기는데 대전은 이런 활동들이 매우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화 불모지 대전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선 단기적 성과에 매몰돼 지역 문화 자생력을 낮추는 조급함의 모순에 빠지면 불된다”며 “지역문화 거버넌스의 한 축으로서 문화재단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