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보령화력발전소 1·2호기의 폐쇄 일정이 내년 12월로 앞당겨졌다.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는 지난 1일 제3차 장·단기 미세먼지 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보령화력 1·2호기는 당초 2022년 5월 폐쇄될 예정이었으나 준공시기가 비슷한 삼천포 화력 1·2호기를 올해 안에 조기 폐쇄하는 방침이 정해지면서 보령화력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기에 이르렀다. 충남도가 정부 설득에 성공한 케이스다. 지역특성을 감안한 '충남형 미세먼지 저감대책'과 실행력을 꾸준히 업그레이드 시켜온 덕분이다.

현재 충남에는 국내 석탄화력 60기 가운데 30기가 가동되고 있다. 석유화학, 철강 등의 요인과 겹쳐 국내 최다 대기오염물질 발생지역으로 낙인 찍힌지 오래다. 보령화력 1·2호기만 보더라도 사용 연한(30년)을 넘겨 35년 이상 운영되고 있어 논란을 빚어왔다. 노후발전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기존 발전소에 비해 57%이상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당장 지역민 삶의 질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국으로부터도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주범이라는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충남도가 '2050년까지 석탄화력발전 제로화 비전'을 지난해 3월 선포한 이래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전략적으로 접근해온 대목을 특기할만하다. 지난해부터 '국제탈석탄 동맹' 등 국제공조체제도 강화하고 있다. 충남은 에너지전환 추진 핵심 지역이다.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47.5%까지 대체 확대할 계획이다. 20년 이상 석탄화력 14기를 2026년까지 친환경 발전소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다. 석탄발전 설계수명을 25년으로 단축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 화력발전소 가동 정지 권한을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제 중요한 건 보령화력발전소 1·2호기 조기 폐쇄에 따른 부작용 최소화다.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근로자들의 충격이 가장 크다. 충남도가 발전소 폐쇄 이후 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한 시나리오를 분석,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고용 인력의 일자리 전환 등 후속 재정 지원에 만전을 기해야 함은 물론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