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산업 인프라 확보… 이춘희 시장 고용창출·세수증대 긍정 효과
폐수발생 관련 “수증기로 사라져”·소음, 전자파 등 안전문제 숙제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세종시의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유치와 관련, 기대와 우려가 엇갈린다.

이춘희 시장은 정보통신 관련 산업 활성화 유발, 직접적인 고용창출 및 지방세 세수 증대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했다.

벌써부터 잔치 분위기를 내는 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다. 볼품없는 법인세 규모부터 상주인력 규모까지 지역경제 기여도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에 빗대서다.

전자파, 폐수 발생 우려를 핵심으로 한 안정성 보장 물음표를 느낌표로 바꿔놓을 수 있을지 여부도 분명하게 따져봐야한다는 지적도 덧대졌다. 결국 세종시-네이버 간 직접 담판에 따른 우려 불식이 데이터 센터설립을 순항의 길로 이끌 전망이다.

우선 이춘희 시장은 세종시 출범 이래 최대규모 민자유치라는 점을 앞세워, 네이버 센터 유치에 따른 경제적 파급력에 엄지 손락을 치켜세웠다. 이 시장은 28일 시청 정음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21세기 미래산업 인프라 확보에 큰 의미를 뒀다.

이 시장은 “네이버 데이터센터 유치로, 정보통신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것은 물론 직접적인 고용창출 및 지방세 세수 증대 등 지역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됐다”며 “네이버 데이터센터 유치를 계기로, 세종시를 글로벌 데이터센터 허브로 발전시키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센터는 5세대 이동통신(5G), AI(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등 미래산업과 밀접한 인프라다. 센터와 연계해 ICBM 및 AI 산업을 발굴·육성하고, 젊은 기업들이 공공데이터와 민간데이터를 융합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도록 돕겠다”며, 청사진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네이버가 구상하는 A-CITY와 세종시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규제자유특구를 결합해 세종을 최첨단 미래형 도시생활 공간으로 만들어나가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지원책도 언급했다.

이 시장은 “네이버가 원한다면 센터 인근 부지에 데이터연구소, A-CITY 실증단지, 연수시설, 교육센터 등의 연관시설을 집적화할 수 있도록 돕겠다. 센터와 연계해 시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테마파크(전문과학관, e-스포츠경기장 등 입지)를 조성하면 훌륭한 관광·휴식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네이버는 2023년까지 5400억원을 투자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짓게된다. '네이버 데이터센터 구축지원단'을 설치하는 한편, 유관기관과 함께 원팀(One-Team)을 가동해 착공에서 준공까지 원스톱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세종시와 네이버가 기대효과 뒤 숨겨져 있는 일부 부정적 시그널을 긍정적 시그널로 돌려놓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세종시-네이버 간 우선협상 과정에서 이뤄질 실익셈법 조율이 관건이다.

이 시장은 “고용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 있다. 강원 춘천 제1데이터센터 인력은 비상주 인력 포함 170여명이다. 자회사 서비스 운영 인력은 500여명이다. 규모 자체가 춘천보다 2배 이상인 만큼, 일정 수준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파 및 폐수발생을 둘러싼 부정적 의견에 대한 답도 내놨다.

이 시장은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안다. 폐수 발생 우려에 대해선 97%가 수증기로 대기중으로 사라진다. 국내에 크고 작은 데이터센터는 100여 곳이다. 소음과 전자파 문제는 없었다. 춘천 데이터센터와 30m 이내 거리의 민가에서도 문제제기가 없었다”면서 “우선 협상과정, 아파트 단지와 거리 이격 등 조정 과정을 거치겠다. 미래 전파공학연구소의 최근 조사를 보면 춘천데이터센터 주변 15개 장소의 전자파 수치는 일반 가정보다 낮게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 유치에 따른 법인세 등 세수확보 규모에도 시선이 간다. 세종 네이버 제2데이터 센터 규모가 춘천 센터 대비 두배 규모라는 점을 볼때, 세종시 법인세 규모는 120~150억원 가량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춘천시 관계자는 “춘천 네이버 데이터센터 매년 법인세 규모는 60억원 가량이다. 매년 이 수준으로 법인세가 납부되고 있다”고 말했다.

시 경제정책과 관계자는 “현 단계 법인세 등 세수확보를 넘어 연관 기업유치, 고용창출 등 지역 경제 파급력을 주목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