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발전지방분권 충북본부가 어제 "환경부는 '수도정비기본계획'을 수정해 충북의 공업용수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충북본부는 이날 성명에서 "충북에는 저수량 2·3위를 차지하는 충주댐과 대청댐이 있지만 용수 배분량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 한다"며 공업용수 공급 확대를 촉구하고 나섰다. 공업용수 부족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충분한 일리가 있다고 본다.

전국 최고 수준의 수자원을 확보하고도 충북의 공업용수는 산업단지 증가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충북 충주, 진천, 음성 등 중·북부권을 중심으로 산업단지 입지는 늘어나는데 반해 산업단지에서 사용할 용수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다목적댐인 충주댐과 대청댐의 저수량(42억4000만t)만 놓고 보면 도내 용수공급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문제는 용수 공급량의 60% 가까이를 수도권 등에 할당하다 보니 정작 충북의 공업용수는 부족한 실정이다.

당장 2년 후인 2021년부터 공업용수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이란 전망이다. 발등의 불이 떨어진 셈이다. 2025년까지 계획 중인 산업단지가 완공될 경우 하루 최대 28만3000t의 공업용수 부족사태가 예고되고 있다. 연도별로는 2021년 13만8000t, 2022년 18만7000t, 2023년 23만7000t, 2024년 24만4000t, 2025년 28만3000t 등이다. 공업용수가 부족해 공장가동을 못하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 공업용수 증대방안을 전략적으로 접근해야하는 까닭이다.

먼저 충주댐과 대청댐의 용수 배분량 재조정 방안을 모색해 봄직하다. 충주댐에서 수도권으로 공급하는 공업용수는 넉넉한 편이라고 한다. 여유분의 일부는 충북으로 공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댐 인근 지역에 공업용수 배분 우선권을 부여하는 건 지극히 당연하다. 충주댐광역상수도 3단계 사업의 조기착공도 요구된다. 빗물 재활용이나 저수지 등 대체수자원 개발 쪽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 예고된 공업용수 부족 사태에 선제적으로 대처해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