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결과 충남지역 수질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어촌공사 자료에 의하면 충남지역 저수지와 담수호 등 118곳에 수질 측정망을 설치해 농업용수 적합 여부를 봤더니 지난해 26곳(22.03%)이 수질기준을 초과한 '부적합'으로 분류됐다. 이는 전국 평균 수질기준 초과율 11.18%의 2배에 달한다. 경남지역 초과율 2.61%, 인접도인 충북도의 초과율 2.56%와 비교하면 얼마나 심각한 지 알 수 있다.

수질등급을 초과한 저수지의 대부분이 서산·태안·아산 등지에 분포돼 있다는 건 이 지역의 도시화·산업화와 무관치 않다. 수질등급을 초과한 저수지는 서산·태안에 10개소, 아산 5개소, 당진·천안 각 4개소로 조사대상의 90%가까이가 도내 북서부에 몰려있음을 엿볼 수 있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26곳 중 25곳은 5등급(나쁨), 1곳은 6등급(매우 나쁨)을 받았다. 총유기탄소량(TOC)기준 1~4등급이면 '적합'이다.

충남은 농업6차산업을 선도할 만큼 전통적으로 농도(農道)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농작물의 품질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농업용수의 수질부터 제대로 관리해야 마땅하다. 청정한 수질에서 고품질의 농산물이 생산된다는 걸 모를 리 없을 터다. 농업용수는 친수공간 제공의 기능도 있다. 용수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당국이 수질개선 사업에 진력하고 있지만 수질오염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염된 저수지를 회복하는데 수년씩 걸리기 때문이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상승, 가뭄 등으로 수질관리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수질개선 사업은 지속적이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수질 오염원별로 집중 관리할 필요가 있다. 공장과 축산시설은 정화시설을 완벽히 구비하도록 지도·점검을 강화해야 한다. 저수지 상류지역 등 오염물질의 유출경로를 파악해 원천 차단하지 않으면 안 된다. 시민들도 적극 협조해야 한다. 하수도 보급률이 미흡한 농촌지역에선 생활하수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결코 작지 않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