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 개발 호재가 넘쳐나도 외지업체가 독식하는 바람에 지역업체는 찬밥 신세인 경우가 많다. 사업 수주전에서 외지업체가 일단 시장을 선점하게 되면 하도급 업체 선정을 비롯해 기술 인력 고용, 건설 자재 구매 등 일련의 공사 과정에서 지역경제와의 교류 및 상생의 선순환 체계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기 일쑤다. 지역 안방에 외지업체 잔치판을 벌여주고 뒷전에서 마냥 바라봐야만 하는가. 전국 각 지자체 차원에서 조례 제정, 상생 협약 등을 통해 지역경제 살리기에 나서고 있는 이유다.

관급공사의 경우는 그래도 나은 편이다. 각종 공사에 지역 건설업체 참여기회를 높여 놨고, 이행여부를 확인하는 통로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 건설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간부문 공사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시행사·시공사와의 지역경제 상생 시스템 가동을 위해선 세심하게 신경 쓰지 않으면 안된다. 대전시 서구청이 어제 관내 대형건축공사장 4곳과 체결한 상생 협약 내용이 주목을 끈다. 지역업체 하도급 비율은 70%이상, 지역 자재 구입 및 장비 사용 비율 60% 이상으로 각각 설정하고 이를 이행하기로 약속했다. 지난 상반기 건축공사장의 지역업체 하도급율은 78%로 집계됐다.

지자체마다 앞 다투어 대형건축공사장과의 지역상생 협약을 체결하고 있는 추세다. 지역 건설경기를 직접 촉진시킨다는 기대감을 준다. 건설산업은 연관산업이 많아 단기적인 경기 부양 효과가 타 분야에 비해 크다. 고용, 소비, 성장률 모두 선순환으로 돌아가게 하는 힘이 있다. 그런데도 대규모 건설공사는 지역건설 업체의 자금력과 기술력 등의 사유를 들어 외면해왔다. 이젠 지역 건설업계의 사정도 많이 달라졌다. 대형공사도 거뜬히 수행할 수 있는 역량과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공동주택은 물론 사립학교, 호텔, 오피스텔, 대형 상가 등의 사업주체들도 지역과의 상생 프로그램에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외지기업이 지역에서 개발이익만 챙기면서 지역은 모른 체 한다는 건 기업윤리 측면에서도 떳떳하지 못하다. 기업이라면 지역과 더불어 상생하면서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필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