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공공기관에 이어 기업들까지 대전을 벗어나는 '탈대전' 현상이 최근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 방지를 위해 대전시는 기업 보조금 확대 등을 내놓고 있지만, 정작 대전에 남아야 할 근본적 '이유'를 제시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잔류 기업 확대를 위한 실질적 혜택을 부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4일 지역 중기업계와 대전시 등에 따르면 대전지역의 항공기 컨테이너 전문생산기업인 A 기업이 이달 초 전북 완주군과 산업단지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A 기업은 완주군의 산단 내에 300억원을 투자, 약 2만평 규모의 생산 라인을 구축하게 된다.

세계 최초 접이식 항공기 컨테이너(ULD)를 개발한 이 기업은 최근까지 지역에서 사업을 이어왔지만 2021년 임대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새로운 투자사업장을 물색한 끝에 생산라인 이전을 결정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생산라인 연계를 위해 본사도 완주군으로 이전을 고려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시의 입장에서 뼈아픈 대목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상대적으로 제조업의 약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세계 최초 접이식 항공화물 컨테이너의 상용화의 시발지점으로 부각되면서 항공산업은 물론 부진했던 제조업의 활성화를 끌어올 수 있는 기회였다는 점에서다.

문제는 기업들의 이러한 탈대전 사례가 과거부터 끊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한 인구 유출과 함께 비롯되는 세수 감소, 기업 인프라 부족에 따른 도시 경쟁력 약화도 덩달아 커지는 상황이다.

지역 중기업계는 이 같은 탈대전 가속화의 근본적인 이유로 부지확보가 어렵다는 점과 부동산 가치의 문제, 타 시도에 비해 좋지 않은 혜택 등이 작용한다고 설명한다.

반면 근본적 이유를 고려한 실질적 대책을 내놓아야 할 시는 이렇다 할 대처를 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현재 시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을 위해 펼치고 있는 자금지원, 일자리 지원 등의 지원시책은 대부분의 타 지자체에서도 기시행중인 것들이다. 대전 잔류를 고려하기 위한 특별한 정책 및 혜택은 부재한 셈이다.

특히 기존 기업 인프라 유지를 위한 혜택보다는 신규 유치를 위한 계획에만 중심을 두고 있는 탓에 향토기업들의 정착화가 뒷전으로 밀리면서 외부적 시각으로는 대전의 입지 자체가 불안정하다고 느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역 기업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정책은 타 지자체와 대동소이하지만 유치를 위한 지원금 규모나 비율은 편차를 보이기 때문에 투자지원금이 절실한 기업 입장에서 이전을 고려하게 되는 것"이라며 "향후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계획돼 있는 추가 산단 조성을 통해 부지 공급을 확대하는 등 지역 내 기업들이 실질적 혜택을 누리는 유출 방지책을 세워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