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회술 농협 청주교육원 교수

'토사구팽(兎死狗烹)'은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삶아먹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다. 주로 쓰임새나 일이 있는 동안에는 중용되었으나, 일이 끝나고 나면 버림받게 된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팽(烹) 당했다'라는 표현으로 줄여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사자성어는 사마천이 지은 '사기(史記)'의 '회음후 열전(淮陰侯 列傳)'에 나온다. '회음후 열전'은 한(漢)나라의 명장이었던 '한신(韓信)'의 전기이다.

유방(劉邦)은 천하쟁패를 걸고 항우(項羽)와 벌인 싸움에서 승리하고 한(漢)나라를 건설한다. 한(漢) 고조(高祖) 유방은 누구보다 공이 많은 한신(韓信)을 초왕(楚王)에 봉하는 것으로 보답했다. 그런데 얼마 후에 항우의 부하 장수였던 종리매(鍾離昧)를 한신이 몰래 숨겨 주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의심과 동시에 화가 치민 유방은 사자를 한신에게 보내어 종리매를 압송하라고 명했다. 그러나 한신은 그 명에 따르지 않았을 뿐 아니라, 종리매의 목을 바쳐야 무사할 것이라는 가신(家臣)들의 권고에 오히려 화를 벌컥 냈다.

한신이 이런 태도를 보이자 유방은 그를 제거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한신을 불렀다. 한신이 이처럼 어려운 처지에 빠지자, 종리매는 자결해 버렸다. 한신은 하는 수 없이 종리매의 목을 가지고 고조에게 갔으나, 그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반역 혐의와 처벌뿐이었다. 몸이 묶인 한신은 '이제 마지막이다.'라고 생각하여 유방에게 이렇게 항변했다.

"교활한 토끼를 사냥하고 나면 좋은 사냥개도 삶아 먹고(狡兎死良狗烹 교토사양구팽), 하늘을 나는 새를 다 잡으면 좋은 활은 곳간에 처박히며, 적국을 쳐부수고 나면 지혜로운 신하는 버림받는다더니, 한나라를 세우는 데 분골쇄신한 저를 폐하께서는 죽일 참이십니까?"

이야기를 여기까지 보면, 유방은 냉정한 사람이고, 한신은 안타까운 희생자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유방과 한신 사이의 이야기를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면 이야기가 조금 달라진다. 유방과 항우의 싸움이 한창일 때, 한신은 조(趙)나라를 굴복시키고, 이어서 제(齊)나라까지 정복한다. 이렇게 공을 세운 한신은, 항우와의 싸움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점을 이용해 유방에게 제나라 왕의 자리를 요구한다. 항우의 지원이 매우 필요했던 유방은 어쩔 수 없이 한신을 제나라 왕으로 임명한다.

어쩌면 이 일이 유방이 한신을 버리게 된 단초를 제공했는지 모른다. 또한 역사에는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았지만, 한(漢)나라 건설 이후에 개국공신으로서의 큰 보답을 바라는 한신의 마음가짐과 태도는 더 심해졌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유방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왔을 가능성이 크다.

이 이야기를 비즈니스 세계에 접목해보자. 회사가 처음 창업할 때 필요한 인재와 회사가 어느 정도 성장하여 안정기에 접어들었을 때 필요한 인재는 다르다. 사업을 처음 시작할 때는 비즈니스 모델이 확립되지 않아, 사업 내용이 수시로 바뀐다. 이때는 열정을 가지고 여러 가지 일을 불평 없이 해내는 직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회사가 성장기에 들어가게 되면, 이 직원들의 가치는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 보다 전문성을 갖춘 직원이 필요해지게 되기 때문이다. 회사와 시대가 변했으면 그에 발맞춰 직원들도 자신의 역량을 발전시켜야 하는데, 창업 초기의 직원들이 이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면 회사의 짐이 되어버린다. 게다가 "왕년에 내가 사장하고 고생하면서, 회사 키웠는데 말이야..."라는 창업 초기의 얘기만 하고 있으면, 사장은 그 직원을 회사 발전의 큰 장애물로 인식하게 된다.

전쟁이 끝난 후 한신은 전쟁 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처신하고, 전쟁 후 상황에 알맞은 역할을 했어야 했다. 사냥이 끝났음에도 으르렁거리기만 하는 사냥개는 잔치를 벌이는 주인의 입장에서는 불편한 개가 되는 것이다. 급격히 변하는 세상에서 '토사구팽(兎死狗烹)'은 배신에 관한 이야기가 아닌, '변화에 대한 적응'을 일깨워주는 이야기로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