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4·15 총선이 6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2017년 5월 9일 조기 시행된 대선 결과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이래 전국 단위 선거로는 2018년 6·13 지방선거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두었던 더불어민주당이 제21대 총선에서는 어떤 성적을 거둘 건가. 제21대 총선은 2022년 3·9 차기대선의 향방을 가를 전초전이라는 점에서 사활을 건 여야 간 한판 승부가 예고돼 있다.

다음달 8일로 문 대통령의 임기반환점을 맞는 만큼 이번 총선은 국정 중간평가 성격이 짙다. '정권 심판론' 대 '국정안정론'이 격돌하는 선거 구도가 그려지고 있다. 요즘 조국 법무부장관 문제를 둘러싼 여야 지지층 결집 현상이 향후 흐름에서 검찰개혁과 맞물려 어떤 변수로 작용할 것인가 주시할 대목이다. 여론조사 결과 여야 지지층보다 많은 무당층이 40%선에 육박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진영논리에 등 돌린 국민이 적지 않다. 국회불신 더 나아가서는 정당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치를 국회로 수렴하고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정치의 참모습을 어떻게 보여 줄 것인가. 정치신뢰를 확보하는 길, 궁극적으로는 여기에 차기 정권을 창출할 수 있는 키워드가 있다. 시대정신을 누가 선점할 건가. 여야 각 정당이 정책과 비전 그리고 인물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정당이 진정성을 갖고 변화와 혁신을 도모하지 않으면 민심을 살 수 없다. 선거용 이합집산의 정당 통합 및 연대의 파괴력에 대해서도 주목거리다. 또 하나 중대변수는 국회 패스트트랙에 오른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시행 여부다. 영·호남에 기댄 거대 양당의 폐해를 극복할건가 말건가를 싸고 결단을 내려야 할 판이다.

총선은 국민 대표자로서의 적임자를 뽑는 과정이다. 지역현안을 이슈화해서 정치적 해결을 모색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지역현안에 여야가 따로 없다. 각 정당을 상대로 의제화·공약화를 추진하는 것도 그래서다. 지역민들은 총선을 통해 국회의원들의 지역사회 기여도를 엄중 평가한다. 거기에서 지역을 대표할만한 차세대 인물이 부상하기도 한다. 지역정치력 확대의 계기가 되도록 전략적으로 접근하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