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대전시에서 열린 국감의 최대 이슈는 '혁신도시'와 '세종 국회의사당'이었다. 20대 국회 마지막 국감인데다 내년 총선을 앞둔 시점이다. 이슈 선점을 싸고 여야의 첨예한 기싸움도 그대로 드러났다. 무엇보다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지역 역량 결집과 더불어 전략적 접근 노력이 긴요하다는 점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혁신도시의 경우 지자체의 의지가 도마 위에 올랐다. 혁신도시 추가 지정을 위해 실효성 있는 전략을 구사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충청권 의원들은 대전시가 소외론·역차별 논리로 소극 대처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선제적인 대응논리와 지역 정체성을 담아 브랜드화할 수 있는 혁신도시 모델 정립을 주문했다. 2004년 비수도권 11개 광역시·도 10개 혁신도시에 152개 공공기관이 이전한 이래 해당지역이 각자 지역발전의 혁신동력을 확보한 반면 대전·충남만 혁신도시 혜택에서 15년 동안이나 완전 제외됐으니 분통이 터질 일이다.

세종 국회의사당 건립 문제를 둘러 싸고도 여야 의원 간 첨예한 공방이 펼쳐졌다. 여당의원들은 국회의사당이 세워지면 국회와 정부를 오가는 공무원들의 비효율적인 비용이 절감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명하면서 국회사무처 용역결과를 보더라도 세종시 분원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야당의원들은 이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총선 공약이며 쪽지예산을 편성해 추진한 것으로 폄하했다. 국민합의와 법적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세종의사당의 법적 근거를 담은 '국회법 개정안'의 처리가 핵심이다. 소관 상임위인 국회운영위의 처리 절차 및 과정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20대 국회가 반드시 관철시켜야 할 과제다.

지역 최대현안을 관철시킬 수 있는 지혜와 전략에 지역 명운이 걸렸다. 전국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 방점이 찍혔다. 우선 대전·세종·충남·충북의 역량을 한데 모으는 일이 중요하다. 4개 광역단체장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그저 의례적인 지지성명 차원이 아니고 누가 보더라도 진정성 있는 의지가 충만한 충청인의 행동을 보여 줄 차례다. 여야를 초월한 지역 정치권의 단합된 의지가 시험대에 올랐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