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중소기업의 우수제품을 지역민들이 애용하면 지역경제 살리기 선순환 구조를 기대할 수 있다. 일반소비자는 물론 지역기업, 더 나아가서는 지역 공공기관이 나서서 지역상품 팔아주기 운동을 하는 까닭이다. 지역 우수제품의 판로가 확대돼야 중소기업의 수익창출 및 경영기반이 확충되고 그것은 결국 기업의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면서 지역 경제의 단단한 한 축으로서의 지속가능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지역사회에 권장돼야 할 소비덕목이다.

하지만 아직도 일부 공공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부족을 드러내고 있어 우려감을 더해 주고 있다. '중소기업진흥 및 제품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에 공공기관의 '중기제품 의무구매비율'을 두고 있으나 막상 일부 기관에서는 이를 외면하고 있다. 당해연도 제품(물품·공사·용역) 구매총액의 50%이상 중기제품, 중소기업 물품구매액의 10%이상 기술개발제품, 당해연도 물품구매액의 5%, 공사의 3%, 용역의 5% 여성기업제품, 당해연도 총구매액의 1%이상 장애인기업제품이라는 법정 의무 구매 비율을 정해 놨지만 이에 대해 무감각성을 드러내고 있다.

중기제품 구매비율을 보면, 대전시를 비롯해 5개 구청은 90%이상의 양호한 구매율을 기록한 반면 한국철도시설공단, 기초과학연구원, 충남대병원 등은 50%를 밑도는 실적을 보였다. 지역기업과 공공기관 간 상생 발전의 중요성을 망각한 것이라는 지적을 피할 길이 없다. 특히 전국적으로는 우선구매 대상 기술개발제품의 경우엔 목표치 미달 공공기관이 전체의 45%를 넘는다고 한다. 실효성 보장을 위한 제도적인 보완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지역 중소기업 우수제품 팔아주기 캠페인은 관련법으로 강제하기 이전에 지역사회에서 자생적으로 뿌리내려야 할 '착한 소비운동'이다. 기업-소비자, 기업-공공기관 간 문제로 그치는 게 아니다. 기업 간에 제품이나 신기술을 서로 구매해주고 사용함으로써 지역 기업 간 상생협력, 동반성장 등 유무형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결국 고용도 증대되고 세수도 늘어난다. 보다 큰 그림을 그려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