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이 미래먹거리를 해양신산업에서 찾는 것은 자연스럽다. '환황해권 시대'를 맞아 서해안권의 전략적 가치가 부상하고 있어서다. 해양바이오산업 육성, 역간척을 통한 생태복원, 해양치유산업 선도, 해양레저관광산업 육성 등 지정학적 환경과 여건에 적합한 목표들이 적지 않다. 그 중에서도 충남도가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장항산단)에 해양바이오 전문 기업을 중점 유치하는 프로젝트에 올인하는 이유는 뚜렷하다.

장항산단은 충청도민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군장국가산단 장항지구가 1989년 지정된 이래 사업이 지연되면서 도민들에게 남긴 상실감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군산지구는 2006년에 완공, 분양이 완료된 반면 충남은 사업 그 자체가 차일피일 미뤄져 주민반발을 샀다. 장항산단은 뒤늦게 2008년부터 3283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 아직도 조성 중이다. 우여곡절 끝에 당초의 해안매립 산업단지 조성방식을 포기하는 대신 내륙에 장항산단을 축소 조성하고, 국립생태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건립 등 '3대 정부대안사업'을 유치하게 됐다. 생태 복합 인프라 구축 의미를 찾기엔 아직도 갈길이 멀다.

우선 장항산단의 큰 그림을 제대로 정립하는 일이 최대 과제다. 충남도 및 서천군과 협약을 맺고 입주했거나 입주를 앞두고 있는 기업이 21개사로 파악되고 있다. 10.7%의 용지 분양률을 기록하고 있다. 장항산단 중심으로 해양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충남도는 해양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들어갔다. 해양바이오는 자원의 친환경성·다양성, 미래 활용가치 등으로 미뤄볼 때 각광받는 분야로 부상하고 있다.

'충남 서해안 해양 신산업 육성'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다. 역대 정부마다 서해안의 가치를 살리는 정책을 호언장담했지만 무위에 그치고 말았다. 장항국가산단의 경우 사업이 늦춰지고 축소 변형되면서 주민들에게 안긴 아픔을 치유하는 길은, 오로지 해양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정부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책이다. 국가생태산단으로서의 정체성을 찾는 데 사활을 걸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