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평등이 이슈인 요즘 꾸준히 문제로 제기되는 것이 있다.

바로 의류·장난감·가방·음식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여성이 주된 소비층인 경우 더 비싼 값에 판매되는 현상인 ‘핑크택스’다.

뉴욕시 소비자보호위원회(Department of Consumer Affairs)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개인 미용 및 위생용품 122개를 조사한 결과 남성용보다 여성용이 13% 더 비쌌다.

성능에 큰 차이가 없는 면도기도 여성용은 18.49달러, 남성용은 14.99달러로 격차를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사례가 핑크택스로 지적되고 있다.

사진=청원글 캡쳐
사진=청원글 캡쳐

지난해 6월 청와대 국민청원에서는 ‘핑크택스를 아십니까’라는 청원글이 올라왔다.

작성자는 글에서 “남녀 미용실 커트 비용이 과도하게 차이가 난다”며 “여성이란 이유로 기장과 스타일이 남성과 별 차이가 없는데도 남성보다 6000원이나 비싼 1만8000원을 지불해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펌이나 염색은 기장에 따라 요금 차이가 나는 게 이해가 가지만 문제는 한 헤어숍 내에서 성차별적인 커트 요금 부과다”라고 덧붙였다.

당시 미용실 커트 요금은 성별에 따라 금액이 확연히 달랐고 여성이 더 비싼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렇지만 최근 남성과 여성의 커트 값이 같거나 1000~2000원 정도의 소액 차이가 나는 미용실이 늘고 있는 추세다.

탈 코르셋 운동 등의 확산으로 긴 머리에서 벗어나 숏커트를 하는 여성이 늘어난 이유도 있겠지만 남녀 커트 비용 차이의 불필요함을 인지한 것도 한 몫을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별다른 이유 없이 비싼 가격이 책정돼 논란을 불러오는 여성 타깃 상품은 또 있다.

여성 소비자가 많은 마카롱, 인스타 감성의 카페나 떡볶이 등은 비슷한 타 제품이나 원가에 비교해 봤을 때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이라는 목소리다.

마카롱의 경우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격이 높을 수밖에 없다는 주장도 있지만 제과제빵 중 난이도가 높은 페이스트리 등 제품 대비 비싸다.

전문자격증이나 관련 경험 없이 우후죽순 판매하는 것도 높은 가격이 측정돼선 안 된다는 이유다.

각종 성범죄 사건의 불안감으로 자물쇠, 호신용품 등 여성들이 지불하는 안전비용이 일종의 핑크택스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대다수의 여성 1인 가구는 원룸에 거주하는데 안전을 이유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반지하나 1층보다는 고층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현관문용 수동 잠금장치, 창문 스토퍼 등 보안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호신용품을 구매하는 여성도 적지 않다. 모두 여성이라는 이유로 소비를 더 해야 하는 핑크택스인 셈이다.

한 유명 아웃도어 브랜드 여성용 롱패딩은 거위 털 충전재가 남성용의 절반에 불과한데 가격은 남성용과 같아 논란이 된 적도 있었다.

업계에서는 “여성용 상품이 섬세함을 요구하거나 손이 더 가는 경우가 많아 값이 비쌀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에 공감하지 못하는 여성이 늘어나는 요즘 성별이 아닌 원가 등을 반영한 가격 측정이 고려돼야 한다는 게 소비자들의 목소리다.

진나연 기자 jinny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