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7억 들여 엑스포 부지에 설치, 영화·드라마 촬영보안 탓 폐쇄적
대관만으론 한계 年 10억씩 적자, 市 연계 클러스터 사업도 난항
운영 주체·지역 연계 등 '숙제'

사진 = 충청투데이 DB
사진 = 충청투데이 DB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국내 최대 규모의 다목적 영상촬영시설인 ‘스튜디오 큐브’(이하 큐브)가 개관 2년이 다 돼 가지만 여전히 엑스포과학공원 내 외딴 섬으로 고립되며 지역 상생에 미흡하다는 지적이 따른다.

대관 자체로는 수익을 낼 수 없는 구조에다 보안이 강해 폐쇄적이며, 중앙부처 산하기관이 운영을 맡고 있어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큐브는 지난 2017년 9월 영상메카의 꿈을 안고 엑스포 부지에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총 797억원을 투입해 중·대형 스튜디오 4실(1500㎡ 1실, 1000㎡ 1실 , 600㎡ 2실), 특수시설(1000㎡), 다목적 야외촬영장, 미술센터 등이 조성됐다.

당시 노른자 땅 위 30년 무상임대라는 파격 조건을 내걸어 이견이 많았지만, 대전시는 큐브를 통해 2만여명의 고용창출과 1조 2000억원의 경제효과, 연간 67만명의 관광객 유치라는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했다.

그러나 현재 관계 업종을 비롯해 많은 지역 문화예술인들은 지난 2년간 큐브를 통한 지역 상생 효과가 무엇이었는지 강하게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먼저 많은 이들은 이곳의 폐쇄성을 문제로 꼽는다. 대부분 영화·드라마 촬영은 사전 제작으로 보안이 철저해 스튜디오 현장은 큐브 직원들조차 접근하기 어렵다. 또 근본적으로 경제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수익구조다. 대관 업무로만은 흑자를 낼 수 없어 단순히 큐브만으로는 경제유발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실제 큐브 예산으로 연간 약 30억원의 지출이 발생하는데 매년 10억원가량의 적자를 지속하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콘진은 실질적인 운영주체지만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으로 지역 상생을 위한 소통이나 협력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당초 시,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콘진, 문체부로 구성된 4차 협력 체제를 구축해 이런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로 했지만 결과적으로 미봉책이 됐다.

이 일원을 대상으로 ‘융·복합특수영상 콘텐츠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추진 중인 시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중요한 인프라가 될 큐브를 놓고 운영주체 및 지역 연계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이기 때문이다.

한종탁 시 문화콘텐츠과 과장은 “대전에 있는 스튜디오 운영이 콘진과 정보문화산업진흥원으로 이원화 돼 있어 비효율적이라는 의견이 많고, 큐브가 폐쇄적이라 시민 개방 등에 어려움이 있다”며 “장기적으로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통해 지역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구상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이우열 콘진 방송인프라운영팀 팀장은 “시티투어를 통해 매주 수요일 시민들에게 일부 스튜디오를 개방하고 있으며 충청권 학교를 대상으로 견학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며 “시가 추진하는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적극 협력해 지역과 상생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방법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