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파주에서 어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병하면서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경기도와 인접한 충남·북 지역 농가를 중심으로 ASF방역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충남도와 충북도는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에 들어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ASF 관련 농장 돼지 3950두를 살처분하는 동시에 전국에 가축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내렸다.

중국, 베트남 등지에서 창궐하고 있는 ASF는 치사율이 80%~100%에 달해 돼지 흑사병으로 불린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약이 개발되지 않아 더 치명적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5월 북한에서 ASF가 발생하자 남북 접경지역 10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정해 방역을 강화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ASF가 발병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북한에서 ASF가 유입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역학조사를 통한 원인규명이 긴요하다.

방역당국은 ASF 예방 및 차단에 한 치의 빈틈도 있어선 안 된다. 충남의 돼지 사육두수는 242만4000 마리, 충북은 64만 마리로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꽤 높다. 파주 발병 농가와 왕래가 있는 농장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충남도가 돼지 사육농가 전체를 대상으로 일제소독에 들어간 건 선제적 조처다. 심하다 할 정도로 방역망을 촘촘히 짜야 한다. 24시간 비상상황 체제를 유지는 두말할 필요도 없다.

ASF균의 잠복기를 고려할 때 앞으로 1주일이 방역의 최대 고비라고 한다. 과거 구제역 발병으로 인한 피해를 상기하면 초동단계 대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양돈농가는 가축 이동제한 조치를 준수하는 등 매뉴얼을 철저히 따라야 한다. 시민들은 해외에서 불법 축산가공품이 반입되지 않도록 협조해야겠다. ASF에 감염된 돼지는 살처분 외에 다른 방법이 없는 상태다. ASF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나서야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