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영희 대전시 공동체정책과장

올 봄 영유아부모들과 함께 ‘아이돌봄’을 주제로 많은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대화에 참석한 영유아부모들은 아이를 키우기 힘든 환경과 마음 놓고 맡길 수가 없어서 직장을 그만두는 경력단절여성이 되는 환경 등에 대한 이야기를 쉼 없이 쏟아놓았다. 유치원은 있지만 유치원에서 해결되지 않는 많은 것들을 끼어들 틈도 없이 내뱉었고, 정부의 정책지원의 확대와 공동육아, 품앗이 육아 등 마을 속에서 서로 돌보면서 해결해보자는 의견들을 쏟아놓았다.

대화에 참여한 부모들이 가장 많이 이야기 했던 유치원은 1800년대에는 사회혁신이었다. ‘어린이를 위한 정원’이라는 뜻을 가진 유치원(kindergarten)은 독일의 프리드리히 프뢰벨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어린 시절 불우한 가정환경에서 보냈던 프뢰벨은 어린아이들이 가정환경에 구애 없이 또래 아이들과 자연환경에서 같이 놀면서 행복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든 혁신적인 시스템이다.

사회혁신이라는 말이 어렵고 새삼스러워 보이지만 사실 오랜 역사 속에서 늘 우리 곁에 존재해왔다. 그런데 왜 유독 요즘에 와서 ‘사회혁신’이라는 말이 회자되는 것일까?

‘사회혁신’이 무엇인지 하나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사회혁신의 대표기관인 ‘영파운데이션’은 사회혁신은 사회적 필요를 충족하고자하는 목표가 원동력이 되는 혁신적인 활동과 서비스라고 말하고, 피어슨은 기존의 지식을 새로운 방법으로 적용하여 성과를 내는 것이라 말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사회혁신에 대해 다양한 정의를 말하고 있어서 사회혁신을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지만 공통적으로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을 얘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 7월 한 달 동안 대전지역 곳곳에서 ‘누구나 정상회담@ 대전’이 열렸다. 이는 예전과 달리 정부와 지자체의 뒷받침으로 시민사회가 주체가 되어 열린 의제 발굴 공론장이었다. 시민이면 누구나 ‘해결하고 싶은 대전의 문제’를 주제로 어디서나 어느 때나 시간과 장소, 방법에 구애 없이 대화의 장이 열렸고, 536개의 의제가 도출됐다. 이렇게 도출된 의제는 ‘대전사회혁신플랫폼’에 함께 하고 있는 공공기관과 시민사회단체들이 해결 해보고 싶은 의제를 선정했고 향후 시민, 공공기관, 정부·지자체가 한 팀이 되어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찾아 나가는 것이다. 각자 가지고 있는 자원을 모아서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 해 가려한다.

1800년대 유치원을 만든 프뢰벨이 지금 살아있다면 2019년 유치원이 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우리는 누구도 이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하기 어렵다. 아이들의 교육문제처럼 오랜 역사 속에서 해결되지 못한 문제와 미세먼지, 기후변화 등 새롭게 생겨난 요즘의 문제는 천재적인 학자 한 명이 해결할 수도 없고, 기존의 방법처럼 정부가 중심이 돼 해결하기도 어렵다는 걸 알게 됐다.

‘대전사회혁신플랫폼’은 사회문제를 온 몸으로 느끼며 살아가는 일상으로부터, 지금까지 방법이 아닌 새로운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시민이 주체가 되고, 지원자로서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함께 모였다.

‘대전사회혁신플랫폼’이 어떤 성과를 만들어낼지 아무도 알 수 없다.

다만 우리가 확신할 수 있는 것은 함께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에 ‘문제해결력’이 생겨날 것이고, 이 힘이 또 다시 해결방법을 찾아가는 원동력이 될 거라는 것이다. 대전사회혁신플랫폼이 대전시민들의 사회문제해결력을 높여가는 플랫폼으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통해 사회혁신의 도시, 대전을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