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교사의 꽃은 학교장 혹은 교육장일지도 모르겠다. 선출직인 교육감까지는 손에 닿지 않는다. 모든 교사가 교장이 될 수는 없으니, 뜻을 품은 자들의 그 과정은 험난하기 짝이 없다. 그들의 여정에는 다름아닌 정치가 기다리고 있다.

여정은 교사로 임용된 순간부터 시작된다. 후한 점수를 받는 학교·자리로 옮겨가기 위한 ‘로드맵’은 대다수 교원들의 가슴팍에 꽂혀있다. 출신별 선·후배끼리의 밀어주고 끌어주기 작전도 치열하다. 터를 잡은 이들의 작전은 자리 되물림으로 이어진다. 교원들의 순환근무 시기에 맞춰 학교·기관별 ‘비는 자리’에 대한 정보전은 두말할 것도 없다.

16일 지역 교직공무원들의 대대적인 인사가 있었다. 여론을 의식한 인사들의 처분도 어느정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교사, 학교’ 등의 단어만 바꾼다면 더도 덜도 아닌 정치판이 연상된다. 하지만 이는 엄연히 교육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물론 교육계 뿐만 아니라 모든 직업 직종 불문하고 인사는 민감한 이슈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교원들이 1년 중 오로지 이날 만을 위해 산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는 이유는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 교원들은 이렇게 말한다. “나이들어 평교사를 하고 있으면 젊은 학부모들에게 멸시를 받는다”라고. 승진이 필요한 명분치고는 궁색함이 느껴진다.

필자는 자녀가 없지만 나중에라도 콩밭에만 마음이 가 있는 교사가 내 아이의 담임선생님이라면 학교를 보내는 부모의 마음이 편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매번 인사시즌 씁쓸함이 감도는 이유는 누구보다 그들이 가장 잘 알것이다. 교원들에게 궁극적인 목표가 무어냐 묻는다면 어쩌면 스승, 혹은 ‘좋은 선생님’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윤희섭·대전본사 취재1부 aesup@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