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임전수 세종교육청 정책기획과장

많은 사람들이 ‘미래’를 이야기한다. 교육부와 교육청은 ‘미래교육’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하며 ‘미래학교’를 만들겠다고 이야기한다. 본래 교육은 미래를 지향한다. 아이들이 미래에 잘 살도록 돕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굳이 교육에 미래를 가져다 붙이는 것은 그만큼 미래로 나아가고자 하는 뜻이 강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의 미래를 여는 교육의 바탕은 튼튼한 ‘학교자치’이다. 많은 사람들이 미루어 짐작하듯 우리 아이들이 미래를 행복하게 살아가려면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자주성과 창의성을 길러야 한다. 민주시민으로 서로의 존엄을 지키며 더불어 사는 시민성은 더욱 중요하다. 미래를 준비하는 학교는 아이들이 자주성과 창의성, 시민성을 기르도록 돕는 곳이다. 그런 학교는 그 자체가 자주적이고 창의적이며 민주적이어야 한다.

상명하달에 의해 움직이는 경직된 체제 하에서는 학교 공동체가 자주성과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학교 공동체가 스스로 주인으로 제 구실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자치가 바탕을 이루어야 한다는 말이다. 줄기차게 이어온 학교혁신 운동이 이루려는 학교의 모습은 바로 자치를 바탕으로 모든 학교 구성원이 모두의 배움을 위해 생활공동체, 학습공동체가 되는 것이다.

학교자치를 실현하는 일은 우리 교육에 도사리고 있는 일제 잔재를 청산하는 일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부터 오랫동안 우리 교육은 획일화되고 순종적인 인력을 대량으로 길러 내는 역할을 해왔다. 이런 역할에는 중앙집권적 행정체제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교육부-교육청-학교로 이어지는 지시와 통제 방식은 군사독재 시대에는 체제 유지 수단이었다. 일제로부터 물려받은 낡은 교육체제는 학교를 행정 말단 조직에 머물게 한다. 우리 교육이 미래로 나아가지 못하게 발목을 잡는다. 우리 아이들이 한 층 더 높은 경쟁력을 갖추는 일을 막고 있다. 이제는 벗어날 때가 되었다.

혁신교육의 확대와 더불어 학교자치가 미래교육으로 나아가는 길이라는 생각도 넓어졌다. 교육부와 교육청은 학교자치의 기반인 교육자치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많은 교육청에서 학교자치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다. 교육부와 교육청에서 학교에 내리던 수많은 정책 사업을 줄이고 있다. 학교가 자치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에도 나서고 있다. 세종시교육청을 비롯하여 충남, 충북, 서울, 제주 등 다수의 교육청이 학교지원센터를 열고 지역의 특성과 학교의 요구에 맞는 지원 사업을 벌여 적잖은 성과를 내고 있다.

학교 지원은 학교지원센터만의 일이 아니다. 지금은 학교지원센터가 가장 앞자리에서 그 길을 개척하고 있지만 결국 교육청 전체가 학교 지원 조직으로 재편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모든 학교가 자주적으로 창의적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민주주의의 전당이 되어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활짝 꽃피우는 터전으로 탈바꿈하길 희망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