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복 74주년, 친일의 역사 수면 위로 下. 도처에 널린 친일 흔적, 직시해야】
광주시 광역단체 최초 추진
충남도·도의회도 특위 구성
도내 시·군 현황 취합도 못해
문화재 이외 잔재 확인 아직
전담팀·제보 접수 등 필요

충남도위회 친일 잔재 청산을 위한 특별위원회. 충남도의회 제공
충남도위회 친일 잔재 청산을 위한 특별위원회. 충남도의회 제공
공주시가 을사오적 박제순 공적비 앞에 '죄상비'를 설치했다. 공주시 제공
공주시가 을사오적 박제순 공적비 앞에 '죄상비'를 설치했다. 공주시 제공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친일 공덕비를 비롯한 잔재들, 도내 각지에 널려있을 겁니다. 갯수를 상상도 할 수 없어요. 지역별로 전담팀을 꾸려 파악에 나서야 합니다. 더 이상 미룰 일이 아닙니다.”

권희용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장은 충남의 현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최근 각 지자체별로 친일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움직임이 분주한 가운데 광주에서는 광역단체 최초로 광범위한 청산 작업을 벌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광주시와 관계기관이 앞서 발빠르게 전수조사를 거친 뒤 500페이지에 달하는 자료를 확보하면서 이뤄진 결과라는 게 민족문제연구소 측의 설명이다.

충남도와 충남도의회도 지난달 친일잔재청산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활동에 뒤늦게 나섰지만 태스크포스(TF) 등 전담인력이 배치되지 않았고 시·군과의 협력체계도 마련되지 않아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일례로 최근 공주시가 이인면사무소 앞 을사 5적 박제순의 공덕비에 그의 친일 행적을 알리는 ‘죄상비’를 설치하면서 도내 단죄문 기록의 포문을 열었지만 이 같은 사실은 시의 홍보 전까지 도 차원에선 파악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꾸준히 논란이 지속되온 논산 상월면사무소 내 친일파 김갑순의 비석과 최근 문제점이 제기된 복혜숙 동상 등 각지의 현황도 취합되지 못했다.

도 실무진은 내용이 파악되지 않은 기념비를 비롯해 각종 유형의 친일 잔재가 도처에 널려있다는 점을 인정했지만 문화재 위주로만 조사가 진행돼 문화재 이외 잔재들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특위는 이와 관련해 2021년 임기까지 단계적으로 전수 조사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현 시점에서는 일제강점기 도지사의 사진 보존 여부 등에 대한 조사에 그쳤다.

도 관계자는 “비문을 알아볼 수 없는 비석들도 각지에 있다”면서도 “근현대 자료와 관련해선 별도로 확인하지 않아왔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지자체 차원에서 자료를 취합하는 데에 그칠 것이 아니라 지역 향토사학자를 포함한 전담팀 구성과 도민 제보 등 다양한 정보 접근 체계를 우선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광주시의 경우 지난해 9월부터 2개월간 관할 내 잔존하는 시설과 조형물, 명칭, 구전 자료 등 친일 잔재 유무형 사항 일체를 시민 제보를 통해 수집한 바 있다.

권희용 지부장은 “단죄문을 세우는 데에는 큰 돈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라며 결국 정확한 전수조사에 의미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철거가 불가피한 잔재들도 있지만 교육적 차원에서도 단죄문 설치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서둘러 그들의 행적을 제대로 알리지 않으면 누가 그런 행위들을 했는지 역사 속에서 사라져 버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단죄문을 자유롭게 세울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이해 관계자들과의 협의도 필요하다”며 “이런 부분은 내부만이 아닌 대외적으로도 공론화시킬 수 있도록 언론을 비롯해 모두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끝>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