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자치구 시멘트 들어내 도심 속 공원 만들기… 동구 지지부진
공원면적·보유공원 수 적어… 도심침체·주택가격 하락 등 우려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저녁 먹고 가볍게 산책하고 싶어도 근처에 마땅히 걸을 공원이 없어서 한참을 걸어 유등천변까지 가야해요”

대전 동구 신흥동에 사는 A(30) 씨는 가볍게 거닐 공간조차 없는 지역 상황에 불만을 토로했다. 2년 전 서구 둔산동에서 이곳으로 이사한 A 씨는 생활형공원의 열악함을 더 크게 느끼고 있다. A 씨는 “시청, 지방법원 등 주요 공공기관들이 신도심에 있는 건 알았지만 일상생활에 필요한 생활 인프라까지 부족할 거라곤 생각지 못했다”며 “지금은 혼자 살기 때문에 괜찮지만 결혼하고 주거지를 정할 때는 생활 인프라가 잘 구성된 신도심으로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 동구의 보유 생활권공원이 타 자치구보다 턱없이 부족한 수준으로 나타나며 지역 주민들의 불만감이 치솟고 있다.

이는 원도심 침체와 더불어 지역의 불리함으로 작용하며 지역 선호도 감소, 주민들의 이주, 주택가격 하락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로 직결되고 있다.

동구의 생활권공원 면적은 80만 4000㎡로 지역 내 자치구 중 가장 적은 면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서구 707만 6000㎡, 중구 620만 5000㎡ 등 타 자치구가 기조성한 생활권공원 면적과 비교했을 때 턱없이 작은 수치다.

보유 공원 또한 동구는 67개를 기록하면서 서구 120개, 유성구 167개와 비교했을 때 절반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동구의 자체 면적(136.67㎢)이 지역 내 자치구 가운데 두 번째로 넓어 생활권공원 조성에 유리한 점을 보유하고 있지만, 실상은 이와 전혀 반대인 셈이다. 특히 9배 가량 넓은 생활권공원부지를 조성한 서구(95.48㎢)보다 40㎢ 가까이 넓다.

이에 대해 동구는 자치구별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녹지공간에 대한 규정과 인식이 생기기 전에 조성된 원도심이라는 특성 상 여분의 부지가 없다는 게 동구 측 설명이다.

반면 타 자치구의 경우 지속적인 도심 속 공원 조성 사업을 진행하면서 동구의 이 같은 입장을 무색케 하고 있다.

실제 서구의 경우 2014년 정부청사 앞 블록을 들어내 공원을 조성했으며, 유성구는 2016년 부터 관평동 태크노밸리 네거리 부근 등 작은 공간들의 시멘트를 들어냈다. 포화 상태인 도심 내 활용성이 떨어지는 공간을 적극 활용, 주민이 이용할 수 있는 녹지휴식공간으로 바꾸기 위해서다.

결국 도심 포화상태를 핑계로 동구의 생활권공원 조성이 지지부진하면서 피해는 고스란히 동구민들에게 돌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생활형공원이 타 자치구에 비해 열악한 탓에 휴식공간 부족을 감수해야 함은 물론 일상생활에 필요한 생활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낙후된 원도심 이미지에 따른 주택가격 하락, 지속적인 인구 유출 등 고질적 문제로 직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동구 관계자는 “계획도시가 들어선 자치구보다 공원 조성 속도가 느린 것은 사실이지만 대청호수변공원, 상소문화공원 등 외곽 공원 조성에 힘을 쏟고 있다”며 “신흥sk 등 재개발이 이뤄지는 단지에는 생활권공원을 의무 조성하도록 해 주민들의 녹지권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전민영 수습기자 myje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