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출규제로 촉발된 국내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중장기 대안으로 충남 '아우내 산업단지'가 부상하고 있다. 이는 충남연구원이 어제 발간한 충남리포트에서 일본 의존형 산업구조 탈피를 위한 정책 과제로 제안한 것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를 주력 산업으로 삼고 있는 충청권으로선 어느 지역보다도 일본 경제전쟁에 대해 민감하다. 소재 부품 산업의 특화된 산업단지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기술자립도를 높이는 절호의 기회로 삼을만하다.

특화된 산단 후보지로 '아우내 산업단지'를 꼽은 것은 교통 물류 요충지로서의 천안의 지리적 입지가 탁월한데다 수도권 민간 R&D와 대전의 공공 R&D, 정부(세종)의 지원 등 복합적인 인프라를 기대할 수 있어서다. 밀착형 행정서비스를 결집할 수 있는 최적지다. 아우내로 명명한 것은 충청권 3·1만세운동의 진원지답게 일본 의존형 기술 탈피의 상징성도 암시하고 있다. 전국 대비로 볼 때 충남의 소재 부품 산업 수출 비중이 20.2%로 적지 않다. 충남은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의 34.2%를 차지한다. 수출규제로 인한 피해 우려가 큰 지역이다.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괄목할만한 직접적 피해가 가시화되지는 않았지만 추가규제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여간 크지 않다.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기업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조사 결과 일본 제품을 수입하는 300개 중소기업의 절반이 넘는 52.0%가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한 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다고 답했다. 지역 기업들은 언제 이어질지 모르는 추가규제에 대한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R&D 투자를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등의 기술자립 기반이 절실하다.

정부도 지난 5일 향후 1~5년 내 100대 핵심 전략 소재·부품·장비 품목의 안정적 국내 공급을 실현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아우내 산업단지가 성공하려면 중앙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수다. 연구진은 지역혁신 인센티브, 충남형 일자리 인센티브, 에너지 인센티브, 밀착형 기업지원 인센티브 등의 입체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우선 충남은 지역혁신 역량을 스스로 입증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