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정 신성대학교 간호학과장

경제 발달, 생활수준 향상, 의학의 발달로 바야흐로 생명연장, 100세 시대가 시작됐다. 더불어 노인층 인구도 점차 중가추세에 있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7%일 경우 고령화 사회라고하며, 14%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노인 인구 비율이 7%를 넘어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9년에는 14%를 넘는 고령 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며, 2026년에는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데 프랑스는 154년, 일본은 36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지만, 한국은 이보다 속도가 훨씬 빠른 26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건강한 노령을 잘 보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뇌졸중, 치매 등 노인성 질환으로 노년의 삶을 즐기기는커녕 의미 없이 장수만 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치매는 다양한 후천적 원인으로 인해 가볍게는 기억력 상실을 비롯해 여러 인지 기능의 장애가 나타나 심할 경우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울 정도의 상태가 되는 질환이다.

치매는 여러 증상들이 함께 나타나는 증상들의 묶음이다. 이러한 치매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이며, 그 외 루이체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등이 있다.

치매는 무엇보다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2017년부터 우리나라는 치매 국가책임제를 도입했다. 7월1일부터는 치매진단비용도 지원을 확대하여 치매진단 검사 비용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게 되었다.

치매가 의심되는 노인은 3단계 검사를 통해 치매여부 및 치매원은을 확인 한 후 본인에게 맞는 치료를 받게 된다. 먼저 1단계로 치매 선별 검사 설문지 도구를 활용해 선별검사를 받고 인지저하 정도를 평가한다.

1단계에서 인지저하로 진단되면 2단계 진단검사를 통해 치매여부를 진단 받게 된다. 진단검사는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간호사 등이 인지저하 어르신을 대상으로 신경인지검사를 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의가 대상자를 진찰 하고 치매를 진단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치매로 진단받은 어르신은 3단계 감별검사를 통해 치매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감별검사에서는 CT, MRI, 혈액검사 등 뇌 검사를 하게 된다. 치매검사를 받고자 하는 어르신은 가까운 보건소(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다.

이밖에 치매 어르신 실종 조기발견을 위한 대책도 강화하고 있다. 실종예방 인식표 보급 확대와 더불어 2019년 5월부터는 치매안심센터에서도 치매환자 지문을 사전 등록할 수 있다. 실종예방 인식표는 60세 이상 치매환자의 개인정보를 안심센터 시스템에 입력한 후 경찰시스템에 연계하고 고유번호가 기재된 인식표를 발급받아 활용한다. 또한 장기요양 수급자 중 치매 또는 배회증상이 있는 어르신의 경우 복지용구로 배회감지기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2019년 5월부터는 치매안심센터에서도 치매환자 지문을 사전 등록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