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수출규제로 충청권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충청권 지자체들은 대응 TF를 각각 구성하고 사안별 실태 파악과 함께 정책개선 및 지원체계 가동에 들어갔다. 지역 정치권도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방안 등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장단기별 지원체계 마련에 나섰다. 지역 상공회의소 등 경제단체 또한 기업피해 실태조사, 기업 애로사항 파악, 유관기관 협의 등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수출규제로 인한 피해가 어디까지 파급될 건지 예단하기 어렵다. 일본이 지난달 초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첨단소재 3개의 수출 규제에 이어 지난 2일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간소화 우대국)에서 한국을 배제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을 주력산업으로 삼고 있는 지역에 비상이 걸렸다. 여기에다 충남의 경우 일본 수입 의존도 90% 이상 연 수입액 10만 달러 이상 품목은 87개에 달한다. 기계류와 전기기기 27개, 비금속제품 20개, 화학 연관 13개 순이다.

비록 일본 정부가 그제 수출규제 시행세칙을 공표하면서 반도체 핵심소재 3개 품목만 포함시켰지만, 경제전쟁은 현재진행형이다. 다른 품목을 규제 대상에 추가 지정하지 않아 그나마 다행스럽고 치부할 수 없다. 어제는 일본이 수출 규제 강화 품목 중 하나인 포토레지스트의 수출을 허가했다. 일본의 경제 보복이 이쯤해서 끝날 것이라고 보면 큰 오산이다. 추가 대상을 확대하지 않은 일본 속셈은 뻔하다. 일본에 대한 비우호적인 국제 여론도 작용한 듯하다. 상황 추이를 두고 보면서 대처하겠다는 심산이다.

일본 경제보복에 대한 상황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겠다. 한국의 생존, 미래와 직결된 중대사다. 먼저 정부의 대응력이 신속하고 적절하게 이뤄져 국민적 신뢰를 확보하는 건 당연하다. 일본 의존적인 경제구조의 허술한 구석을 탈피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향후 5년 내 100대 핵심 전략 소재·부품·장비의 안정적 국내 공급 실현을 위한 대대적 지원 정책도 나왔다. KAIST도 나섰고 대덕특구 출연연도 원천기술 확보 및 국산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기술이 바로 경쟁력이다. 궁극적으로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