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업체 다수 수출규제 타격
원료확보·투자 회수 등 문제로
범지자체차원 해결 마련 고심

[충청투데이 김기운 기자] 대일 무역전쟁이 심화되자 외국인투자지역에 입주하고 있는 제조업체 사이에서 팽팽한 긴장감이 돌고 있다.

이번 대일 무역전쟁으로 생산원료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은 물론 일부기업은 일본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업체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천안·아산·당진 등에 위치한 개별형 외국인투자지역에 입주한 제조업체 사이에서는 이번 대일 무역전쟁에 따른 대응책을 고심중이다. 외투지역에 입주한 제조업체들의 생산품 상당수가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제품등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비춰봤을 때 이번 조치가 큰 여파로 작용 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실리콘웨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충남 아산의 A업체는 일본에서의 불산 수입이 어려워질 것으로 판단해 대만과같은 대체 수입국가를 모색하고 있지만 상황이 녹록치 만은 않다.

수입통관 절차나 구비서류등 준비해야하는 과정이 많아 제품조달이 늦어 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업체는 지자체를 통해 관련기관에 협조 공문까지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과 직접적인 거래가 없는 기업들도 부담감을 느끼기는 마찬가지다.

개별형 외투지역에 입주해 있는 19곳의 업체 중 일본의 투자를 받고 있는 기업은 5곳이다. 일본 수출규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일본측에서 투자금을 회수해 버릴 경우 경영에 부담이 생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일본의 투자를 받고 있는 충남 천안의 B업체는 “일본과 직접적인 거래가 없기 때문에 이번 수출규제에 대해 체감하고 있는 피해는 없다”며 “일본의 투자금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돌고 있는 이야기가 있지만 아직 입장을 내기는 어렵다”고 선을 그엇다.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사업을 철수하겠다는 일부 일본기업들도 있어 외투지역내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당진에 위치한 일본계 반도체 기업이 국내 사법부의 판단이 공정하지 않다며 사업 철수를 발표했다. 당시 이 기업은 한국 검찰이 자 업체를 기술유출 혐의로 기소 한 것에 대한 조치라고 발표했지만 일각에서는 강제징용에 대한 배상 판결에 따른 보복조치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현재 이 업체는 공장 내 일부 생산 설비를 회수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

이처럼 지역 내 주요 제조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외투지역에 큰 피해가 우려되자 범지자체차원에서도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충남연구원은 일본수출규제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고 대전충남중기청 역시 신고센터를 구성해 지역 중소기업들의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다.

대전충남중기청 관계자는 “아직까지 접수된 직접적인 피해는 없지만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되는 28일부터 본격적으로 피해 신고접수가 될 수 있다”며 “그 전에 정밀진단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기운 기자 energykim@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