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기술연구·국산화 중요성 부각
시장성 반영 솔루션 제공 숙제로…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한일 양국이 소재·부품 등 원천기술을 놓고 대치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국내 과학기술 전초기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섣부른 기술 투자 유도보다 유망 미래기술 분야에 대한 냉철하고 신중한 분석 및 기술 지원으로 대덕특구가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 가교가 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최근 일본 경제 전쟁과 관련해 부품·소재·장비 등 원천기술 연구 및 국산화에 대한 요구가 많다.

정부는 수출규제 대상 중 대기업의 수요가 높은 품목 30여개를 공동 개발하고, 수요가 적어 생산하지 못하는 상황을 고려해 ‘후불형 R&D’ 제도 도입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44개 공공연구소의 연구역량을 결집하고 향후 7년간 R&D 사업비 7조 8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계획했다.

원천 기술 연구가 강조됨에 따라 26개의 정부출연연구소 및 KAIST 등 국내 최대 규모의 과학기술 자원이 집중 된 대덕특구의 가치도 급부상하고 있다. 6일 이상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특별위원장)이 개최한 ‘일본경제침략 대책마련을 위한 출연연기관장 긴급간담회’에서도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출연연의 역할이 강조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소재·부품 등 원천기술 연구개발은 물론 기업 기술 지원 및 솔루션 제시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를 줄이는 것이 대덕특구의 시급한 역할이라고 조언한다.

다만 기존에 이미 양산된 제품들 대신 세계적 추세인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즉 기술혁신 차원의 경쟁력 있는 차기 소재가 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분야의 기술 지원 및 투자의 경우 향후 시장 논리에 따라 오히려 중소기업에 막대한 피해로 돌아갈 가능성을 염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선 먼저 대덕특구 출연연들이 순수 연구개발에서 벗어나 보다 비즈니스 차원에서 산업 생태계를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에 부족한 기술력을 지원하고 미래유망 아이템 제시 등 시장성을 반영한 솔루션까지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윤병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대덕특구본부장은 “결국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 가교 역할을 해야 한다. 현재 상황에서 중소기업이 기존에 이미 양산된 소재·부품 개발에 무리하게 뛰어들면 안 된다. 아무리 국산화한다 해도 대기업은 결국 시장논리에 따라 가격·기술경쟁력이 높은 쪽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간 해결하려고 하면 문제가 생기게 된다. 긴 호흡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대덕특구가 국내 산업 구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