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적 관심을 모은 지적장애 여중생 조은누리(14)양의 극적 생환은 실종 장애인의 실태를 되돌아보게 한다. 충북 청주의 한 야산에서 실종된 조양은 실종 10일 만에 수색팀에 발견돼 부모의 품으로 돌아갔다. 조양을 찾기 위해 경찰, 군인, 소방대 등 연인원 5700명이 투입됐다. 하지만 실종자마다 이렇게 많은 인원을 투입할 수 없는 실정이고 보면 실종 장애인을 찾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경찰청에 따르면 해마다 전국에서 8000명 안팎의 장애인이 실종되고 있다. 지난해에만 8881명이 실종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대부분은 발견돼 집으로 돌아가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미발견 실종 장애인이 2017년에는 16명, 지난해에는 65명이나 된다. 충북지역에서만 최근 5년간 실종 장애인 8명을 찾지 못했다. 지역은 다르지만 조양과 비슷한 시기에 제주 서귀포에서 집을 나간 유모(17)군은 실종 나흘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유군은 자폐증을 앓고 있었다고 한다.

실종 장애인을 둔 가족들의 심정이야 어떻게 말로 표현하겠는가. 장애인 실종을 막고, 실종 장애인은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 마련이 긴요하다. 조양과 같은 발달 장애인을 위한 배회감지기 보급도 그중 하나다. GPS(위성 정보시스템)를 활용한 배회감지기는 몸이나 소지품에 부착, 위성 신호를 이용해 착용자의 위치를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장치다. 지적장애인이나 치매노인 실종 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하지만 인권침해 논란에 예산문제까지 겹쳐 발달 장애인에 대한 배회감지기 보급률은 극히 미진한 상황이다. 장애아동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위치를 감시한다는 부정적 인식이 있다고 한다. 최근 들어 조양 실종 사건을 계기로 배회감지기 문의가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배회감지기 보급을 늘리려면 인식과 제도적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 실종을 미연에 방지하고, 실종 시 빠른 대처에 초점을 모아주기 바란다.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입장을 최우선 고려해야 함은 물론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