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 120년, 해양건도 꿈 이룰까]
관광·공해 공존…대기오염 심각道, 노후 석탄火電 폐쇄 노력, 수소산업 확충도… 차별화 관건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글 싣는 순서
① 하늘길·바닷길, 해양건도 전초전
② 제동 걸린 서해권역 고속철, 해법 찾을까
③ 27년 표류, 안면도 관광지 개발 목전에
▶4 관광·공해산업 공존, 환경문제 숙제로
⑤ 文 정부 공약으로 본 환황해권 육성은

충남도는 서해안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각종 사회간접자본(SOC) 사업과 관광지 개발 등을 지속하고 있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하다.

서해권역에는 전국 석탄화력발전의 절반 가량이 위치한 데다가 제철소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들이 상당수 자리잡고 있어 관광과 공해산업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30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량이 가장 많았던 곳은 충남으로 7만5825t이 배출됐으며 전국 배출량의 23%를 차지했다. 이 같은 수치는 굴뚝 자동측정기기(TMS)가 부착된 사업장(전국 626곳)을 대상으로 먼지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불화수소,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염화수소 등 7종의 물질을 측정한 결과다.

문제는 충남이 TMS 측정 결과가 공개된 4년 전부터 줄곧 전국 배출량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는 이와 관련해 지난 4월 충남형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발표하면서 종합 대책을 내놨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2022년까지 9만 8571t(2015년 대비 35.3%) 가량 감축하고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당초 계획(2025년 20㎍/㎥ 목표)보다 앞당겨 15㎍/㎥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국가기준보다 20~30% 강화된 배출허용기준 조례를 제·개정했으며 사업장의 지도·점검 강화와 함께 산단 내 에너지 효율 향상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노후석탄화력발전소의 조기 폐쇄를 위해 범도민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는 등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대기관리권역 지정과 사업장 오염물질 총량제 시행에 발맞춰 사전작업을 진행 중이다. 도는 이러한 환경문제와 관련해 지속가능성에 방점을 둔 신(新) 산업분야로의 전환에 대해서도 고심하고 있다.

서해권역 신산업으로는 수소에너지와 연료전지, 연료전지 응용산업 등 수소경제 분야가 손꼽힌다.

도는 앞서 2040년까지 국내 수소 공급 30%를 점유해 수도권과 중부권의 거점 역할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대기오염물질을 발생하는 에너지 문제와 기후변화 문제 등에 대응해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는 취지다.

특히 수소산업 기반 확충과 직접단지 조성, 수소기술 상용화 추진 등으로 수소차 49만여대를 보급하고 부생수소·추출수소 생산기지를 조성하겠다는 입장이다. 관건은 타 시·도와의 경쟁에서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느냐에 달렸다. 현 시점에서 수소 생산량만 놓고 본다면 충남은 울산과 여수에 못미친다. 지난해 부생수소 생산량은 울산 94만t, 여수 66만t, 충남(서산·당진) 21만t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소경제 관련 인프라가 전국적으로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응용산업과 산업의 연계방안에 따라 입지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게 실무진들의 설명이다.

충남연구원은 연구자료(2019년)를 통해 “서산의 수소산업은 연료전지산업과 수송용 응용산업 등의 기반이 취약하다”며 “석유화학단지 부생수소 생산과 대산항만을 활용해 국내 3대 공급허브 지위를 정립하고 재생에너지와의 순환체계 구축과 함께 지게차, 드론 등 응용산업으로의 진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