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성 TF… 기획 한계점 지적
상시연계·거버넌스 구축 시급
은퇴 과학인력 활용안도 숙제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4차산업혁명특별시를 선도하는 대전시가 최근 스타트업 파크를 비롯한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 혁신성장 사업에서 줄줄이 탈락한 가운데 미흡한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 활용을 놓고 지적이 따른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사업 선정만을 위한 일회성 전략에서 벗어나 대덕특구와 상시 기획 또는 연계 협력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축이 시급하다고 조언한다. 최근 대전시는 ‘스타트업 파크’ 공모에 이어 ‘규제자유특구’ 지정까지 연이은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모두 지역 혁신성장 모델의 초석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 중요한 국책사업이었다. 과학도시와 4차산업혁명특별시를 표방하는 대전시의 연속 탈락 행진은 대덕특구를 내세워 선정 기대가 높았던 만큼 더욱 쓰라릴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대전시가 대덕특구가 입지해 있다는 강점만으로 경쟁력을 인정받기는 어려운 시대에 도달했다고 입을 모은다.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치중된 대덕특구 생태계를 들여다봐도 대전에 위치해 있다는 이유만으로 지자체와 협력할 접점은 사실상 찾기 어렵다. 또 가속화 되고 있는 연구소 분원 등 인프라 유출로 대전만이 갖고 있던 차별화된 강점 역시 과거에 비해 상당히 약해진 것이 사실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탈락은 특정 사업만을 위한 일회적 TF에 의한 기획의 한계로 지적한다.

대덕특구가 지역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선 이제는 시가 보다 원론적인 물음에 구체적인 답을 해야 할 때라고 강조한다. 구체적인 해결책으론 대전의 혁신자원은 물론, 국가사업 등 관련 정책을 대덕특구와 함께 기획·실행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축을 꼽는다. 이들이 상시적으로 협력 가능한 공동체가 시스템화 돼야만 지역에 혁신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다는 의미다.

현재 준비 중인 ‘대전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설립 취지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다른 지역에 비하면 이미 뒤쳐진 상황이지만 장기적으로 이곳은 대전의 과학산업 기획 및 육성 등을 담당하는 과학기술 총괄 기관으로써의 역할이 요구된다. 거버넌스 구축과 함께 은퇴과학기술 인력에 대한 활용도 중요한 문제가 된다. 과학기술정책 기획 능력이 부각되는 과학자를 어떻게 은퇴 후 지역사회에 기여하게 할 수 있을지가 숙제로 남는다.

양성광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은 “중요한 문제는 분산된 자원 혹은 역량을 한데 결집시켜야 한다는 점”이라며 “시가 대덕특구와 협력할 수 있는 조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취해야만 생태계 자체가 다른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