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공섭 대전문화원연합회장

사진은 그림의 그늘에 가려 ‘기계가 찍어낸 인쇄물이라고 단순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사진을 전문으로 하는 필자가 그 부분에 대한 마음을 표현하지 않으면 직무 유기가 될 것 같다.

필자의 속내를 열면 혹평을 받을 수도 있으나 진정한 사진인 이라면 외면하지 말고 진실한 마음을 열어야 사진인 으로써 당당하고 부끄럽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연언어와 영상언어의 차이점을 느낄 수 있는 영상언어는 전달방법에 있어서 직접적이며, 언어의 추상성에 비해 사진의 구체성을 들 수 있으며, 사진은 언어에 비해 구체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사진의 위치는 미술과 문학 사이에 위치한 독자적 예술 장르라고 생각한다. 그림처럼 사진도 작가의 마음 속 주제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명암, 색채, 윤곽의 흐름, 선명, 흐림, 원근법 등을 적절하게 구사해 작가의 철학을 파인더에 담는 작업이다.

그렇다면 그림과 사진은 찍히고 그리는 대상과 얼마만큼의 유대를 가지고 있는가. 사진은 찍히는 대상과 대부분 돈독한 유대관계가 성립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사진의 현실성은 단순히 현실을 찍는다는 사실만이 아니라, 사진가가 그 현실에 입회했다는 사실에 더욱 큰 뜻이 있다.

사진가가 현장에 있었다는 사실, 역사와 더불어 있었다는 사실이 사진에 설득력을 더해 준다. 따라서 사진을 본다는 것은 역사의 현장에 우리가 서 있음을 뜻한다. 사진이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 것은 역사의 현장에 우리를 세워 놓아 우리로 해금 역사를 직접 겪게 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비록 어떤 사건을 찍은 사진이 아니라, 한 송이 꽃을 찍은 사진이라 하더라도, 우리는 실재하는 꽃을 대하고 있는 것이며, 꽃이 피어 있는 현장에 우리가 서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동시에 진실한 한 순간에 사진가가 그 진실과 맞닥뜨렸다는 사실이 우리를 감동시키는 것이다. 바로 이점이 사진을 문학이나 그림과 다르게 하는 커다란 차이점이다.

바꾸어 말하면 다른 모든 예술은 상상만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지만 사진에 있어서만은 상상이 허용되지 않는다. 현실성이 사진의 특성이라고 하는 것은 사진이 사람의 손으로 만든 작품이 아니라는 사실과 통한다. 이것이 사진을 다른 예술과 근본적으로 구분 짓는 요인이다. 다른 모든 예술은 인간이 만들어 낸다. 음악도 문학도 무용도 모두 사람이 만들어낸다. 사진만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찍는 행위다.

그렇기 때문에 사진에는 기술보다 감성과 지성이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흔히 사진을 일컬어 발견의 예술이라고 한다. 바로 이 점이 사진의 특성을 말하는 것이다. 즉 사진은 사진가가 만들어낸 현실이 아니라, 현실의 한 부분을 발견해 오려낸 현실의 한 조각이다. 그래서 발견의 예술이라 일컫는 것이다.

혹시 초보자일 경우에는 외형적이고 소재주의적인 발견에서부터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출발부터 진지하지 않고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는 없는 것이다. 또 사진은 현실을 포착한 모습과 시간, 그 흔적을 통해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림은 존재하지 않는 환상과 심상을 상상으로 그려낼 수 있다. 하지만 사진처럼 현실을 똑같이 담아낼 수 없다.

자신이 표현하는 독특한 화법, 필체가 동원돼 그것을 작품화 하는 상상의 작업이기에 사진보다 감성과 지성이 담겨 있다고 이야기한다. 사진이 예술이 될 수 있느냐 없느냐는 결국·사진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사진을 만드는 사람, 만드는 목적 그리고 능력에 따르는 문제라고 하겠다.

그래서 요즘 사진에서도 감성이 내재 돼 있는 작업을 많이 한다. 시간의 흐름을 정지시키고, 또 멈추었다 다시 흐르게 한다. 빛과 피사체의 충돌로 파생하는 반사된 생명, 카메라 기술 등을 접목하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때로 사진을 그림 같다고 이야기하며, 수채화 같다고도 한다. 그러나 사진은 사진이고 그림은 그림이고 문학은 문학 그 가치와 성격을 판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