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차원 육성·지원조례 전무
조직화율 5년간 꾸준히 하락
지자체 차원 지원 마련 절실

[충청투데이 이인희 기자] 중소기업 간 상호협력을 위한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지만, 대전시가 조례 마련 부진 등으로 역행하고 있다.

지역과 내수시장에서 독자적으로 생존하던 개별 중소기업에게 협동조합 형태의 협업 전략이 시급한 시점이지만 이렇다 할 지원사격을 받지 못하면서 표류하는 상황이다.

23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대전과 세종, 충남지역에는 모두 56개의 국가 보장 중기협동조합이 활동하고 있다. 중기협동조합은 공동구매나 시장개척 등 개별 중소기업 형태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는 네트워크 조직의 플랫폼이다.

중소기업들은 중기협동조합을 통해 기업활동의 일부를 공동화함으로써 대기업 자본 등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해당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도출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도 이러한 중기협동조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원근거를 마련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실제 충북의 경우 최근 충북 중소기업협동조합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재정해 정책수립, 활성화 촉진, 판로촉진 등을 지자체 차원에서 공식 지원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번 지방조례 제정은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충북이 최초이다.

반면 대전의 경우 중기협동조합 육성이나 지원을 위한 조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장기화 된 내수부진으로 발생한 양극화 확산, 취약계층 확대, 일자리 창출여력 소진 등의 중소기업 현안에 공동 대응 능력이 저하, 지역 경제 활성화 접근이 어렵다고 중기업계는 입을 모은다.

현재 중기협동조합 조직화율은 2012년 19.2%에서 지난해 18.7%로 떨어지는 등 5년간 꾸준한 하락세를 기록하는 상태다.

결국 이 같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지자체의 지원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기협동조합 등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의 설치나 중소기업 제품의 공동 전시판매 등의 사업 지원에 대한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지역 내 개별 중소기업들의 조직화 움직임을 이끌어 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현재 개별 중소기업에 대한 직접 지원 형태의 중소기업 시책이 특정 및 일부업종 한정 지원으로 퇴색할 수 있는 기업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중기협동조합의 공동사업 및 협업사원 지원으로 방향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개별 기업에 대한 산발적 지원의 경우 재원의 한계로 인해 지원 규모 축소가 우려되는 만큼 중기협동조합을 통한 지원 집중도를 높여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기업은 최저임금, 근로시간 단축 등 경영 한계 극복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며 “협업 및 공동대응 차원의 협동조합은 이러한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대전시도 협동조합 전담부서 설치 및 지원 조례화를 통해 지원 집중도를 조속히 끌어올려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