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로 예정됐던 대전 홍도육교 지하차도 개통일이 내년 10월로 연기됐다. 당초 개통일보다 10개월가량 늦춰졌다. 공사용지 확보문제가 뒤늦게 해결됐기 때문이라고 한다. 대전시와 건축주가 철거를 둘러싸고 줄다리기를 하는 사이 공사기간이 무작정 늘어나게 됐고, 그로 인한 불똥이 엉뚱한 곳으로 튄 셈이다. 사업 지연에 따른 유·무형의 후유증 속에서 시민 불편이 가중될 판이다.

홍도육교는 경부선 철로로 가로막힌 대전 홍도동과 삼성동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다. 1일 교통량이 7만대가 넘었다. 경부선 철로 위를 가로지르는 왕복 4차로 차량 과선교로 1984년 개통됐다. 심한 교통체증에다 안전성 문제가 제기돼 이를 철거하고 지하차도를 개설하고 있던 터였다. 총 사업비 1368억원을 투입, 기존 왕복 4차로 육교를 지하 6~8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공사 과정에서 차질이 발생했다. 지상 건축물의 철거가 이루어지지 않아 매설된 하수 박스를 옮길 수 없게 됐다.

물론 크고 작은 토목사업을 하다보면 보상금 시비 등 여러 돌발 상황으로 인해 공사 지연 사례가 많다. 이번 공사 역시 건축 철거를 싸고 법적 소송까지 가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시민들이 애타게 그 결과를 지켜보고 있었다. 뒤늦게나마 대전시와 건축주가 협의 결과 다음 달 15일까지 자진 철거하기로 해 그나마 다행스럽다. 하지만 그로 인한 후유증이 적지 않다. 시민들이 공사로 인한 소음, 분진을 더 감수해야 하고 우회도로 통행 불편을 계속 겪어야 할 처지다. 공사 정상 추진을 염두에 두고 각종 영업, 주거 등 새로운 생활기반을 구상하고 있는 시민에게도 차질이 불가피하다. 그만큼 직·간접의 사회적 피해가 크다.

무엇보다도 토목공사가 지연되면 공사비 증액 등 경제적 손실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그게 모두 국민의 혈세다. 상황이 이토록 되기까지 갈등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대전시의 무능 문제가 제기되는 배경이다. 앞으로 남은 공사 일정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공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