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 부여 기업 절반도 안돼
인력부족·경영악화 등 이유
저소득에 일부 휴가 꺼리기도

[충청투데이 이인희 기자]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에도 불구하고 한숨 쉬는 지역 중소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내수침체로 경영환경이 악화된 탓에 기업 규모별로 여름휴가마저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벌어지면서 지역 중기업계는 또다시 울상을 짓는 상황이다.

22일 고용노동부의 근로시간 운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300인 이상 규모 사업체의 여름휴가 부여일 수는 연간 3.72일로 집계됐다. 이는 5인 이상 30인 미만 규모인 중소규모 기업들의 부여일 수인 3.24일보다 0.48일 많은 수준이다.

여름휴가 부여일 수만을 놓고 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기업 규모별로 여름휴가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300인 이상 규모 사업체 가운데 여름휴가 부여업체 비율이 53.0%를 기록, 중소기업의 여름휴가 부여업체 비율인 47%를 상회하면서 온도차를 보이는 실정이다.

이처럼 기업 규모별로 여름휴가의 양극화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으로는 내수경기 침체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악화 심화가 첫 번째로 꼽힌다.

실제 중소기업중앙회가 국내 중소기업 CEO 300명을 대상으로 여름 휴가계획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 가운데 26.7%가 휴가계획이 없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가를 가지 않는 이유로는 △업무로 인해서가 52.6%로 가장 많았으며 △생산·납품 일정이 빠듯(15%) 등도 상당 비율을 차지했다.

즉 내수시장 침체 등으로 영업이익 달성의 어려움이 전망됨에 따라 휴가를 계획할 분위기조차 형성되지 못하는 셈이다.

뿐만 아니라 대기업과 비교했을 때 인력 부족 등의 피로도가 누적된 상황도 중소기업에게는 뼈아픈 단점으로 작용한다고 지역 중기업계는 설명한다.

대전의 한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 관계자는 “여름휴가로 인해 인력 누수가 발생하면 사실상 나머지 인원들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올 정도로 최소 인력을 통한 긴축운영이 시행되고 있다”며 “물론 회사 차원에서 여름휴가 필요성에 대한 교육이나 휴가 사용 장려 분위기를 적극 조성하고는 있지만 인력 누수는 곧 매출과 직결된다는 현실로 인해 여름휴가를 크게 고려하지 않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소득비중이 대기업에 비해 낮은 점도 또다른 원인이 된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달 기준 생활형편CSI(소비자태도지수)의 경우 기준점인 100보다 낮은 91에 그침은 물론 현재경기판단지수 역시 69로 하락하는 등 소득 향상에 대한 기대감이 낮다보니 소득비중이 낮은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경우 여가활동이나 휴가 나서기를 꺼려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지역 중기업계 한 관계자는 “근본적으로 내수경기가 살아나지 못하기 때문에 금융비용 증가, 공공요금 인상, 불경기에 따른 더딘 소득 향상 등 악조건이 동반되면서 예년만큼 여름휴가에 대한 비중도가 높지 않은 현실”이라며 “휴가철과 관련한 소비증가 등 계절적 요인이 내수시장 활성화라는 선순환 연결고리 역할을 해야 하지만 최악의 경영악화 상황을 버티는 지역 중소기업 입장에서 이러한 연결고리 형성에 쉽사리 뛰어들지 못하면서 경기는 더욱 어려워지고 노동부담은 늘어만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