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12개 마을 식수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한 우라늄이 대거 검출됐다. 기준치보다 무려 135배나 높은 곳도 있다. 지난 1분기 '정기 소규모 수도시설 수질검사' 결과다. 늑장 보고라는 지적을 피할 길이 없다. 올 들어서 청양에 이어 두 번째다. 이미 예견된 결과였다. 모두 우라늄 광맥이 자리 잡고 있는 지역인 까닭이다.

충청권에는 지질특성상 우라늄 함량이 높은 화강암·편마암 지역이 산재해 있다. 충북 괴산-충남 금산으로 이어지는 '옥천변성대'가 대표적이다. 걸핏하면 충청권에서 우라늄·라돈 식수 파동이 일어나는 것도 그런 연유에서다. 우라늄 오염 지하수가 본격 이슈화 된 것은 1998년이었다. 당시 일부 먹는 샘물에서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보다 최고 4배 높은 우라늄이 검출됐고, 대전지역 일대 지하수 18곳에서는 그 기준치를 최고 50배 초과한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당시 은폐했던 것으로 밝혀져 논란을 빚은 바 있다.

방사성 물질은 장기간 노출되면 각종 암을 유발하거나 유전자 변이로 인한 기형아 출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라늄 광맥에선 자연방사성 물질이 지하수에 자연스럽게 녹아 나온다. 이를 먹었을 경우 피폭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을지라도 장기 음용하면 중금속 독성으로 인해 신장에 심각한 피해를 남긴다. 뒤늦게나마 올해부터 지하수를 원수로 하는 수돗물 수질 기준 항목에 우라늄이 추가된 것은 다행스럽지만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정수장, 마을상수도 등은 매월 1회 이상 검사를 실시해야 하는데 지금까지 드러난 것을 보면 미덥지가 않다.

충청권 곳곳에서 우라늄 식수가 잇따라 확인될 개연성이 크지만 막상 그 실상이 정확히 밝혀지진 않고 있다. 그 실태를 알아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게 아닌가. 근본 대안은 대청댐을 활용한 광역상수도망을 촘촘하게 구축하는 것이다. 농촌지역 상수도 보급률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수밖에 없다. 먹는 물조차 안심하고 마실 수 없다는 건 재앙이나 다를 바 없다. 수돗물 신뢰는 바로 그런 한계를 넘어서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