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 최소 10곳 경쟁
충청권 충주·제천시도 가세
고용창출 등 유치효과 미지수
市 "내부적 관련정보 파악 중"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최근 전국 지자체마다 네이버의 ‘제2 데이터센터’ 유치전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대전시도 유치전 가세 여부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시는 데이터 센터 구축 이후 경제적 파급효과나 일자리 창출효과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어 쉽사리 도전장을 내밀지 못하고 있다.

15일 대전시와 네이버 등에 따르면 지난 12일 네이버는 ‘데이터센터 부지 제안 페이지’를 오픈해 오는 23일까지 참가 의향서를 이메일로 접수하고 있다.

당초 용인시에 추진되던 네이버의 데이터센터 건립은 부지 인근 주민들이 전자파로 인한 건강위협 등을 주장하면서 무산됐다.

이후 전국 지자체들의 유치경쟁 흐름으로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

데이터센터는 서버와 저장장치 등 전산설비를 구동하는 공간으로 인터넷 서비스 회사의 심장으로 비유되는 핵심 시설이다.

신청 자격은 전체 부지 면적 10만㎡, 지상층 연면적 25만㎡이고, 방송통신시설 허용 부지 또는 2020년 1분기까지 용도 변경이 가능해야 한다.

센터 구축비용은 5400억원, 예상 고용인원은 1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최소 10곳이 넘는 지자체가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고 싶다는 제안을 네이버에 직·간접적으로 전달했다.

충청권에서도 충주시와 제천시 등이 유치전에 가세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흐름 속에 대전시는 유치전에 선뜻 나서지 않고 있다.

시는 내부적으로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게 된다면 과학벨트 둔곡지구에 건립할 방안을 가지고는 있다.

이 곳은 주거단지가 없는 만큼 전자파 등 유해성 논란으로 인한 주민 반발을 우려할 필요가 없으며 대규모 건물을 올릴 수 있는 부지확보도 용이하다.

하지만 시가 유치전에 본격적으로 나서지 않는 이유는 데이터센터로 인한 지역에 나타나는 효과가 어떻게 나올지 미지수 이기 때문이다.

데이터센터는 서버 집합체로서 고용 창출 효과는 크지 않다는 우려가 있다.

또 대규모 부지가 필요로 한 만큼 다양한 기업유치를 포기하고 센터 1곳만을 건립해 효과를 얻어낼 수 있을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대전에는 행안부 지방세시스템 등 공공 부문 데이터를 관리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있지만, 이로 인한 효과는 지역에 나타나지 않고 있어 굳이 비슷한 시설을 유치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역에 어떤 효과가 있을지 충분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무턱대고 유치전에 뛰어들 수는 없다”며 “데이터센터 유치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 내부적으로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있는 단계로 지역에 나타나는 효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