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사이 출생)의 은퇴가 본격화됨에 따라 대덕특구의 퇴직인력활용방안이 본격 제기되고 있다. 그간 고경력 과학기술인 퇴직자 활용방안이 다각적으로 모색돼 오긴 했으나 막상 실적은 초라하다. 은퇴과학자들이 일부 분야에서 지식기부에 참여하고 있을 뿐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자료를 보면 올해 25개 출연연 정년퇴직예정자는 234명에 이르고, 내년엔 294명으로 늘어난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우리나라 주력산업 형성기에 전문성을 키웠던 과학기술인력들이다. 국가가 육성한 고급인력의 능력을 사장시킨다는 건 국가 차원의 손실이 적지 않다. 은퇴과학자의 과학적 지식과 경험적 자산을 국가와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데 일정부분 공감대는 형성돼 있지만 이를 실현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무릇 100세 시대다. 정부출연연 평균 정년 61세에 은퇴한 이후 이른바 '인생 이모작' 준비가 여의치 않다. 과기계의 요구만 봇물처럼 나온다. 정작 이를 수용할만한 여건은 충족돼 있지 않다. 대덕연구개발특구가 들어선 대전시가 전국 처음으로 지자체 차원에서 과학기술인 활용사업을 펼쳐왔으나 한계를 보이고 있다. 우수한 과학기술 인프라를 공유 활용할 수 있는 산·학·연·관 네트워크가 구축돼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은퇴과학자 활용을 위한 대전형 모델을 새롭게 리모델링해야 한다.

고급인력의 미스매치 현상을 해소할 만한 대책, 시대적인 요구는 물론 미래지향적인 가치에 가장 적합한 모델이 핵심이다. 과학기술계 연관 네트워크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예컨대 은퇴 과학자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활용해 기업을 지원하는 ‘기술융복합플랫폼’ 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수요와 공급의 중간자 역할을 하라는 것이다. 제4차산업혁명특별시를 겨냥하고있는 대전시로서는 기존 일자리를 잠식하지 않으면서도 기술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얼마든지 모색할 수 있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특화된 정책 개발이 필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