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 동우(董遇)는 후한 말 사람으로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공부에 열중하여 황문시랑(黃門侍廊) 벼슬에 올라 헌제(獻帝)의 글공부 상대가 됐다.

한때는 승상이었던 조조의 의심을 받아 한직으로 쫓겨난 적도 있었지만, 위(魏)나라 명제(明帝) 때에는 시중(侍中), 대사농(大司農) 등의 벼슬에까지 올랐다. 그는 노자(老子)와 좌전(左傳)에 주(注)를 달았는데, 특히 (좌전)에 대한 그의 주석은 당나라 시대까지 폭넓게 읽혔다고 한다.

동우의 명성이 높아지자 많은 사람이 그에게 글을 배우겠다고 몰려들었다. 하지만 그는 선뜻 가르치려고 하지 않고 “마땅히 먼저 백 번을 읽어야 한다.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드러난다”고 말했다.(인유종학자 우불긍교이운 필당선독백편 언독서백편기의자현:人有從學者 遇不肯敎而云 必當先讀百遍 言讀書百遍其義自見)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왕숙전(王肅傳).

동우를 좇아 배우려는 자가 힘들게 사느라 책 읽을 겨를이 없다고 하자, 동우는 “세 가지 여가만 있으면 책을 충분히 읽을 수 있다”고 대답했다.

어떤 사람이 세 가지 여가의 뜻을 묻자 동우가 대답했다.

“겨울은 한 해의 여가이고, 밤은 하루의 여가이고, 내리는 비는 한때의 여가이다”라고 대답했다.(종학자운 고갈무일 우언 당이삼여 혹문삼여지의 우언 동자세지여 야자일지여 음우자시지여야:從學者云 苦渴無日 遇言 當以三餘 或問三餘之意 遇言 冬者歲之餘 夜者日之餘 陰雨者時之餘也)

이 이야기는 삼국지·위서 왕숙전의 위략(魏略)을 인용한 배송지(裵松之) 주(注)에 나온다.

독서백편(讀書百編)은 '글을 백 번 읽다'의 뜻이고, 의자현(義自見)은 뜻이 자연히 떠오르다'의 뜻이다. 곧, 어떤 글이라도 백 번 읽으면 뜻을 자연히 알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무엇이든 끈기 있게 반복하며 진리를 터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요즈음은 각종 기기로 인터넷, 스마트폰 등에서 모든 정보가 들어있어 길을 가면서도 정보를 익히기 위해 스마트 화면을 보다가 교통사고 등 위험한 상황에 도래 한다. 배우려는 마음은 좋지만 위험하지 않은 방법을 선택 바르고 안전한 방법으로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으로 세계의 기둥돼 대한의 명망(名望)에 부흥해 보자.

<국전서예초대작가·청곡서실운영·前 대전둔산초교장>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