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순 대전시 정무부시장이 사표를 제출했다. 이제 시중의 관심은 후임 인사 하마평에 앞서 부시장 체제의 운영 효율성이라는 근본 문제에 모아지고 있다. 대전시 최대현안에 걸맞은 부시장 역할이 강조되면서다. 날로 경제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지역 현실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다는 위기감의 발로다. 부시장의 역할을 현행 ‘정무’ 기능보다는 ‘경제·과학’ 쪽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있다.

허태정 시장 체제 1년에 대한 시민평가는 엄중하다. 그간 시민주권시대 구축을 위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지역경제 사정, 예컨대 향토기업의 탈대전 현상과 고용률 하락 등 시민 체감경기는 전국에서도 바닥권을 맴돌고 있고, 시정 수행과정에서 갈등관리 리더십 부족이란 지적 또한 수시로 제기되고 있다. 결국 민생 문제에 귀착한다. 지역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지방자치의 본령과 직결된 주제다. 먹고 사는 문제야 말로 생존권 차원에서 거론될 만큼 민감하다.

각 시·도마다 부단체장은 지역 사정에 따라 자치행정의 전문성을 살려 신축적으로 운영한다. 그간 정무부단체장이 우세했으나 충남은 문화부지사를, 인천·대구·경북·전남 등은 경제부단체장을 운영하고 있다. 민선 7기 출범 1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이제부터는 본격적으로 성과를 창출해내야만 하는 상황이다. 지역에 비전이 보이지 않는다면 시민입장에선 암담하기 그지없을 것이다. 대전시가 지난달 '2025년 시민 1인당 GRDP 3만3000 달러' 달성 목표를 제시한 것도 그래서 일 것이다. '대한민국 혁신성장 중심지 대덕특구', '원도심 신경제 중심지화', '시민이 행복한 문화복지도시', '쾌적한 친환경 도시', '트램 중심 녹색교통도시'를 어떻게 이뤄낼 건가.

부시장 인사권은 전적으로 허 시장의 고유 권한이다. 그렇다고 인사의 적정성을 벗어나선 안된다. 인물의 도덕성·자질이나 전문성보다는 선거 캠프 인사 중심 코드 인사는 경계해야 할 요소다. 부시장에게 어떤 영역을 중점으로 챙길 것을 주문할 건지 관심사다. 인사에 대한 시민의 평가기준은 간단명료하다. 누구를 위한 인사이어야 하는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