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경제보복 조치 맞물려 투자철회 등 우려…전망은 부정적
지역 中企 日기업 유동성 주시…경제보복 장기화땐 타격 커

일본이 우리 정부의 강제징용 판결에 불만을 품고 한국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규제를 발표하면서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 움직임이 일고 있는 가운데 8일 대전 중구 대흥동의 한 편의점 출입문에 일본제품을 판매하지 않는다는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정재훈 기자 jprime@cctoday.co.kr

[충청투데이 이인희 기자]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가 대전시와 지역 기업들을 뒤흔들고 있다.

일본 기업들로부터 외국인투자유치에 성공하는 등 경제교류 성과를 낸 상황에서 이번 경제보복 조치로 투자금 회수가 우려되는가 하면 지역 중소기업들의 향후 투자협약이 악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유동성을 예의주시하는 상황이다.

8일 대전시와 지역 중기업계 등에 따르면 시는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외국인투자유치활동을 전개하는 등 일본 기업과의 경제교류 실적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까지 시가 진행한 일본 기업과의 경제교류 규모는 모두 8400만 달러에 달한다.

올해 초의 경우 시는 일본 나고야 지역의 8개 기업과 투자유치 협상을 진행한 바 있다. 이 가운데 일본의 유망 강소기업인 이토제작소, 바이오코모, 오카키정공 등 3개 기업으로부터 16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들 기업의 경우 나노제품과 같은 첨단제품 제작업체로 시는 4차산업혁명 특별도시 추진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평가했다.

문제는 이 같은 일본 기업의 투자유치 성과가 최근의 경제보복 조치로 인해 불안정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금융업계에서는 이와 유사하게 보복조치가 일어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일본의 반도체 수출규제 등과 같은 일환으로 일본계 은행들이 국내에 풀린 여신자금에 대해 그 규모나 속도를 줄이는 등 회수 전처를 밟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경제보복 조치와 맞물려 일본 기업들의 투자 철회 등의 모습으로 서서히 나타날 수 있다.

아직까지 시와 투자협약을 이룬 일본 기업 가운데 직접적으로 투자 철회 움직임을 보이는 곳은 없다는 게 시의 설명이지만, 전문가들은 주식 또는 채권시장에서 투자금을 회수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될 경우 기업 경제교류 역시 영향권에 들어올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는 일본 기업과 개별적으로 직접투자 성과를 올린 지역 중소기업들에게도 부담이다.

실제 지역의 한 바이오분야 중소기업인 A 사의 경우 지난해 일본의 백신업체 B 사와 투자협약을 진행, 300만 달러 규모의 직접투자 유치에 성공했지만 최근 급속도로 악화된 한일관계로 인해 냉가슴을 쓸어내리고 있다.

A 기업 관계자는 “일본의 경제보복이 투자금 회수 등으로 확대 조치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분석이 나오지만, 이러한 자금을 통해 기반을 유지하고 있는 입장에서 당연히 불안할 수 밖에 없다”며 “만일 지역 중소 및 강소기업들에 대한 일본 기업들의 투자금 회수 움직임이 본격화될 경우 기반 악화로 인해 연쇄적으로 휘청일 우려가 높다”고 설명했다.

이때문에 지역 중기업계 등은 일본 기업들의 유동성을 연일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태다.

특히 해외 주요권역별 바이어 비중에 있어 일본은 중화권(30%)과 동남아대양주(22%)에 이어 세번째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번 경제보복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큰 타격을 입을 것이란 우려감을 나타내고 있다.

지역 중기업계 한 관계자는 “일본 기업 측이 직접투자금을 회수하는 등의 투자자금 회수 조치는 일본쪽에서도 차환 과정 등 상당히 복잡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당장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은 편”이라며 “다만 이 같은 투자금의 의존비율이 높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인터라 경제보복이 확대된다면 지역 중소기업들의 타격은 상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