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가 우리나라 대법원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에 대한 경제보복으로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를 어제부터 단행함에 따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충청권 주요 수출품목에 비상이 걸렸다. 일본정부가 수출규제에 나선 소재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에칭가스 등 3가지로 이를 소재로 쓰고 있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타격을 입게 됐다. 충청권에 입주한 삼성과 SK는 물론 관련 협력업체가 들어선 충청권의 타격이 불가피하다.

그러잖아도 우리나라는 미·중 무역전쟁, 세계 교역규모 위축 속에서 반도체 가격 하락까지 겹쳐 수출이 지난해 12월 이후 연속 7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수출 감소의 구조적인 고착화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일본이 우리 수출 주력 품목에 대해 규제를 강화하고 나섬에 따라 충청권 수출 물량의 감소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충남의 경우 집적회로반도체가 지난해 전체 수출 가운데 23.4%를 차지했고, 평판디스플레이 수출도 전체 수출 물량 중 두 번째를 기록했다. 일본산 소재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해당 제품 생산라인 지체 및 중단으로 인한 납품 차질 등의 악재도 배제하기 힘들다. 일본 보복의 장기화와 함께 추가 수출 규제 품목이 100개 이상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피해가 발생하면 그 규모를 신속하게 파악한 후 자금 지원 등의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 소재의 수입처 다변화도 필수다. 장단기 별 대책이 나와야 하는 상황이다.

우리의 대응책이 너무 안이했다. 일본은 우리 반도체 산업의 아킬레스건을 압박하고 있다. 일본만 믿고 반도체 산업의 핵심 소재·부품·장비 개발에 허술한 사이 뒷통수를 맞은 격이다. '자원 전쟁'의 시대다. 정부가 이제야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개발에 매년 1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국산화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다. 부품·소재를 선진국에 의존하는 구조로는 산업성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재주는 우리가 부리고 돈은 그들이 챙긴다. 우리나라 반도체산업 경쟁력을 몇 단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하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