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기업투자환경이 열악하다는 지적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수도권 기업이 대전으로 이전하는 사례가 드물다. 보조금을 줄 테니 대전으로 내려가라고 해도 외면한다.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 등을 유도하기 위해 해당 기업에게 설비·입지 투자를 지원해주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제도마저도 '그림의 떡'이다. 이 보조금이 첫 도입된 2004년 이래 지난해까지 모두 1조 2800억원이 풀렸지만, 대전의 경우 유치기업은 고작 3%(41개)에 그친다고 한다.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을 따지기에도 민망한 지경이다.

정부가 어제 내놓은 민간투자 활성화 등 하반기 경제정책 가운데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대상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지만, 대전에서는 실효성이 의문시 되고 있다. 신규 고용요건을 완화해주기로 했고, 지방 이전 기업의 양도세 분납 특례기간을 2년에서 5년으로 늘려주기로 했다. 대전의 경우는 기업유치에 사활을 걸고 전방위적인 행정력을 투입하고 있는 타 시·도와는 달리 보조금 약발도 먹히지 않는다.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취지 자체가 퇴색될 판이다. 대전의 지리적 이점은커녕 대덕특구 등 지역 보유 잠재역량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뼈아픈 대목이다.

기업이 대전 이전을 꺼리는 이유는 여럿이다. 마케팅, 판로, 기술인력충원, 협력업체와의 관계 등의 여건도 따지지만 무엇보다도 산업용지가 부족한데다 비싼 땅값을 첫째 기피 요인으로 꼽는다. 수도권 이전 기업을 비롯해 지방 신증설, 해외 진출기업의 국내 유턴 기업을 대상으로 보다 더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맞춤형 기업유치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지역에 새로운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어 그나마 기대되는 바가 크다. 대전시의 산업 정책은 특화형 산단에 정면 승부를 걸어야 할 처지다.

제4차산업특별시를 지향하고 있는 대전시로서는 할 일이 막중하다. 과학기술도시로서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한 여러 대책에 지역의 미래가 달렸다. 빈약한 제조업을 한 단계 업그레이시키는 한편, 기존 서비스 산업 또한 고도화하는 전략적인 선택은 필수적이다. 대전에 기업이 몰리고 사람이 모일 수 있는 여건과 환경부터 조성해야 민간 투자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