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주 진천소방서 중앙119안전센터 소방위

2014년 4월 16일 우리는 전 국민에게 아픔을 주는 대형 참사를 겪었다. 세월호 사고는 이름만 들어도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슬픔을 안겨주고 트라우마를 일으키는 비극적 사고다.

필자는 당시 해군해난구조대(SSU)에서 항공구조·수중폭파소대장으로 근무하다가 전역한지 채 한 달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당시 현장대응의 어려움과 희생자들의 처절한 아픔을 조금이나마 더 이해할 수 있었다.

그 일이 계기가 돼 필자는 소중한 사람들을 지키기는 일을 업으로 삼고 싶다는 마음을 갖고, 제24기 소방간부후보생 과정을 통해 소방관의 길을 걷게 됐다.

세월호 사고 후 5년이 지나, 2019년 5월 30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또 다른 선박침몰사고가 일어났다. 장소, 현장상황, 규모 등 다른 점도 있지만, 선박사고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고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구조작전에 어려움이 많다는 점, 사고선박·가해선박 선장의 비도덕적인 행동으로 피해가 더 커진 점은 유사하다.

그러나 이번 사고에 대한 우리 정부기관의 대응은 2014년 그 날의 대응과는 다르게 진일보한 점이 눈에 띈다. 먼저 국가차원의 대응이 좀 더 신속해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의 사고 보고를 받은 즉시 재외국민대책본부를 구성해 강경화 외교부장관과 신속대응팀(외교부6명, 소방청 13명)을 급파했다. 신속대응팀에는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잠수요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선착대를 서둘러 출동시킨 것이다. 국가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과 조치를 취한 것이라 본다.

후속대처도 좋았다. 정부기관(외교부, 소방, 해군, 해경)간 신속한 공조를 통해 해군 해난구조대(SSU)소속 심해잠수사, 해경 중앙해양특수구조단 구조대 등 인력 및 장비를 추가 파견했다.

수난사고의 특성상 수색범위는 시간이 지날수록 넓어지고, 또 구조대원들이 잠수규칙에 맞춰 안전하게 임무를 수행하려면 교대 및 보조 인력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제적 협력을 이끌어낸 외교력도 힘을 보탰다. 외교부는 사고가 일어난 헝가리뿐만 아니라 강 상류에서 수위를 조절 할 수 있는 슬로바키아, 강 하류에 위치한 세르비아 등 인접국가에 적극적인 공조를 요청하여 전례 없는 협력을 이끌었다.

당시 다뉴브강의 물살이 빠르고 수심이 불어난 어려운 상황에서도 신속한 대응과 후속조치로 선박인양과 19명의 실종자 중 2명만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는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통한 긍정적인 성과라고 할만하다.

세월호 침몰사고, 헝가리 유람선사고와 같은 사고가 이번 사고로 그치리라는 보장은 없다. 사실 세월호사고 보다 좀 더 거슬러 올라가면 1993년 서해 훼리호 침몰사고와 같은 대형 수난사고가 이미 몇 차례 있어왔다.

따라서 정부 및 유관기관들은 이번 헝가리 유람선 사고대응에 대한 평가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더 효율적인 대응책을 강구하고 궁극적으로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