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교류…대덕특구와 시너지 vs 지원 분산…대덕특구 위축

사진 = 충청투데이 DB
사진 = 충청투데이 DB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하 특구재단)이 강소특구지원본부를 신설한 가운데 강소형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 첫 출범과 관련해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의 역할론이 대두되고 있다.

강소특구가 대덕특구의 기술교류 확산을 이끌어 내는 ‘득’이 될 지, 아니면 연구기능만 남긴 채 생산 기능 분산이라는 ‘실’이 될지는 지켜봐야 하는 분위기다.

지난달 27일 특구재단은 이사회를 소집해 강소특구지원본부 신설 안건을 최종 의결했다.

이는 최근 지정된 강소특구(경기 안산, 경남 김해·진주·창원, 경북 포항, 충북 청주) 출범에 따른 것으로 본부 하위 조직은 ‘강소특구지원팀’과 ‘강소특구기획팀’으로 구분했다.

강소특구가 국내 도입된 새로운 모델인 만큼 연구개발특구의 최초 모델인 대덕특구 역시 ‘기대’ 반 ‘우려’ 반의 분위기다. 

연구기능 교류 차원에서 강소특구와 대덕특구의 시너지를 기대하는 측면도 있지만 역으로 기존 대덕특구 자원이 강소특구에 유출되지 않겠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기존 대덕특구 자원이 강소특구로 전국에 분산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따르고 있어 상생이 될 지, 축소가 될 지는 속단할 수 없는 시점이다.

현재 대덕특구와 각 강소특구가 어떠한 형태로 교류 협력이 이뤄질 지 구체적인 세부안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특구재단은 강소특구 출범으로 대덕특구의 기능이 오히려 강화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강소특구 지정 지역의 경우 특정 핵심 기관을 중심으로 창출된 기술을 인근에 전파하는 게 핵심이기 때문에 자원 유출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오히려 채널 다변화로 대덕특구 연구기능 활성화 차원에서 기술사업화 및 기술이전 등을 꾀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일각에서는 대덕특구가 위치한 대전을 중심으로 한 충청권 강소특구 지정 결집을 위해 지자체와 정치권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 이번 강소특구 첫 출범 지역 6곳 중 3곳이 경남지역으로 대거 포진됐다. 

충청권 중에선 충북 청주 1군데이며, 충남은 천안을 기점으로 하반기 추가 지정 시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특구재단 관계자는 “지역이 인접할수록 교류가 수월할 수밖에 없다”며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4개 기존특구와 강소특구 간 연계·협력 구조를 통해 유기적으로 강소특구 추진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