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수가 또 다시 역대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4월 출생아 수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1700명(6.1%) 줄어든 2만6100명으로 집계됐다. 37개월째 최소기록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는 아이 수)은 0.98명으로, 인구를 현상 유지하는 데 필요한 출산율(인구대체수준) 2.1명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다.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우리나라 인구가 인구절벽·인구쇠퇴라는 급변 사태를 맞고 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2028년 519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50년뒤 생산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잠재성장률 및 산업경쟁력 하락이 자명해진다. 2047년 기준 충청권 인구는 세종이 59만명, 충북 163만명, 충남 232만명으로 각각 증가한 반면 대전은 133만명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대전시 인구는 2013년 153만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2018년 심리적 저지선인 150만명이 무너진 이래 매월 1000명가량 감소 추세다.

대전시로서는 도시쇠퇴 현상을 발등의 불로 인식하고 비상한 각오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된다. 산업연구원은 대전에 대해 성장이 멈춘 도시로 진단한지 이미 오래다. 충남, 충북이 성장지역으로 분류된 것과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대목이다. 대전인구가 세종시로 유출되는 현상과도 맞물려 있다. 향토기업이 대전을 잇따라 떠나고, 우수한 청년 인력이 지역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찾지 못해 외지로 나가야만 하는 현상이 정상은 아니다.

인구 문제에 지역의 미래 더 나아가서는 국가의 미래가 달려 있다. 대전시가 주거, 육아, 교육, 기업, 일자리, 병의원, 편의시설, 복지 등 안정적인 정주기반 구축에 부심하고 있고, 충남도 역시 인구 위기에 대응하는 맞춤형 전략에 포인트를 맞추고 있는 그 자체는 일단 나무랄 데가 없다. 결국 아이를 낳아 잘 기를 수 있는 살기 좋은 내 고장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 모아진다. 지속적이고도 실천 가능한 정책 수준의 문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