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과 서울, 경기도 광주에 이어 청주에서도 붉은 수돗물이 나와 일부 주민들이 한때 불편을 겪었다. 지난 21일 오전 6시부터 9시 사이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일대 단독 주택가에 붉은 수돗물이 나온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됐다.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붉은 수돗물 파동'으로 주민 불안이 깊어지고 있다.

전국 지자체마다 비상이 걸렸다. 청주시의 경우 한때 주택가 100여 가구가 녹물 수돗물로 불편을 겪었으나 현재는 수돗물 공급에 이상이 없다고 한다. 근본적인 문제를 따져 볼 필요가 있다. 녹물 수돗물의 원인은 대체로 노후 수도관에서 비롯된 측면이 많다. 관에 달라 붙어 있는 녹이 수돗물에 섞여 가정으로 보내지는 구조다. 인근 공장에서 단시간에 많은 양의 물을 끌어다 쓸 경우 수압변화로 인해 또 다시 붉은 수돗물이 나올 개연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과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 일대 역시 붉은 수돗물이 나와 해당 지자체가 원인 파악에 나섰다. 오래된 수도관으로 인한 침전물 유입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서울 문래동 아파트에서는 3개월 전부터 붉은 수돗물이 나왔고, 수질검사에서도 부적합 판정이 내려졌다고 한다. 서울시는 낡은 수도관에 붙어 있던 침전물이 아파트 저수조에 흘러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상수도관 교체공사 때 도로굴착 연관 기관간의 협의 과정이 늦어지는 바람에 결국 주민피해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붉은 수돗물의 원인규명이 급선무다. 인천처럼 무리한 급수 전환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작업 기준 등 매뉴얼을 무시한 결과 화를 자초했다. 대부분은 30년 이상 노후 상수도관으로 인한 사고다. 또 언제 어디서 어떤 사고가 터질지 알 수가 없다. 지난해 말 KT 통신구 화재, 일산 백석역 열수송관 파열사고 등에서 확인됐듯이 지하에 설치된 통신구, 온수관 등 생활기반 시설 또한 마찬가지다. 정부가 수돗물 파동을 계기로 2023년까지 예산 32조원을 투입, 낡은 지하시설물을 정비하기로 했다. 당연히 그랬어야 했다. 국민 안전과 직결된 노후 인프라는 하루라도 빨리 교체돼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