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형 인터넷(IoT), 5G 등 정보통신기술(ICT)이 핵심으로 떠오르며 4차 산업혁명의 혁신적 변화를 이끈다.

이렇듯 과학기술이 인간의 삶을 연결하는 융복합 시대에 인문학의 중요성을 외치는 사람이 있다.

배재대 주시경교양대학 김화선 교수. 사진=진나연 기자 jinny1@cctoday.co.kr
배재대 주시경교양대학 김화선 교수. 사진=진나연 기자 jinny1@cctoday.co.kr

바로 인문학과 ICT를 융합한 빅데이터와 세상읽기를 가르치는 배재대 주시경교양대학 김화선(50) 교수다.

전통 인문학인 국문학을 전공한 김 교수가 처음 ICT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매체의 변화 흐름에 주목하고 나서부터다.

그는 MOOC(온라인 공개강좌) 등 ICT 관련 플랫폼이 성장하면서 교수법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ICT를 활용한 다양한 매체를 인간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지 고민하던 김 교수는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관계를 떠올렸다.

4차 산업혁명 시대로 향하면서 과학은 실용적인 측면에서 이익을 얻는 기술로 여겨지는 반면 인문학은 도구적 학문으로 수용되는 데 그친다고 봤다.

현재 우리 사회가 학문의 실용성에 주로 의미를 두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이윤을 추구할 수 없는 인문학은 전문 분야보다는 보조적 수단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이런 인문학의 소외론을 딛고 김 교수는 인문학만이 가지는 가치를 찾았다.

그는 로봇이 할 수 없는 인간의 사고, 프로그래밍으로 나타내거나 파악할 수 없는 의미를 찾는 역할은 오롯이 인문학만이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인문학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통찰력과 상상력을 요하는 학문으로 미래 기술이 인간의 삶과 공존하려면 과학과 인문학 중 어느 하나 먼저랄 것 없이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봤다.

김 교수는 최근 실용성 교육만을 추구하던 일본의 흐름을 빗대며 미래에 도움이 될 바람직한 실용을 추구해야 한다는 말에도 힘을 실었다.

김 교수는 “AI를 도쿄대에 보내는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아라이 노리코 교수는 AI시대일수록 AI가 할 수 없는 의미를 찾아낼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며 “실용을 쫓는 것이 제대로 된 교육이 맞는가 반성하는 일본의 예를 보면 우리나라 교육 방향도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학 기술이 발전할수록 인문학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김 교수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시대에 인간다움이란 뭔지, 인간답게 산다는 건 어떤 것인지 생각해 봐야 할 때”라며 “우리 사회에 정작 중요한 건 기술이 아니라 기술이 현실을 바꾸고 있는 이 시대를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인문학적 시선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김화선 교수는 빅데이터와 ICT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분야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국문학 전공자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2018년 판 ‘마르퀴스 후즈 후’에 등재된 바 있다.

진나연 기자 jinny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