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욕을 막고 천리를 보존한다>

극기복례(克己復禮). 이 말은 ‘논어’에서 공자의 수제자인 안연(顔淵)이 인(仁)에 대해 물었을 때, 공자가 대답한 말이지만〈춘추좌씨전〉 소공(昭公)를 보면 공자가 이 말을 고어로 인용한 점으로 미뤄 보아 공자 이전부터 전해져온 말인 듯하다.

이에 대해 주희(朱熹)는 “극기는 일신의 사욕을 극복하는 것이요, 복례는 천리(天理)의 절문(節文)으로 돌아가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를 일견하면 인간 존재의 부정적 경향을 극복하고 외적인 규범에 따르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인간의 존재를 곧 천리로 보는 성리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 말은 인간 본연의 모습을 회복한다는 의미이다.

즉 극기복례는 성리학에서 인간의 올바른 주체를 확립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인욕을 막고 천리를 보존한다’는 구조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 양자는 서로 다른 것이 아닌 극기가 곧 복례이며 알인욕(?人欲)이 곧 존천리(存天理)라는 것이다.

그러나 기(己)와 예(禮), 인욕(人欲)과 천리(天理)의 대비에서 보이듯이, 이 말은 인간 존재가 갖는 본질적인 갈등 구조를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공자의 이 말을 받아 안연이 그 구체적 실천방법을 물었을 때 공자가 “예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고 행동하지도 말라(비례물시 비례물청 비례물언 비례물동: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고 했듯이 현실의 인간은 예가 아닌 것을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며 동시에 그것을 거부하는 힘으로 이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맹자의 성선설(性善說)과 그것을 계승한 성리학의 인간관은 이전의 갈등적 구조를 인간의 현실적인 존재양상으로 이해할지언정 그것을 인간 존재의 본질로 인정하지는 안는다. 그리고 이런 관점에서 인욕도 반드시 부정적인 것으로 보지 않는 것이다.

극기는 자신을 잘 다스리는 것이고, 복례는 잘 다스린 자신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에게 겸손하고 공손하게 대한다는 뜻이다. 예로 행해야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즉 자신을 낮추어서 어른을 공경한다든지 다른 사람의 불편을 미리 헤아려서 양보한다든지 하는 것들이 모두 극기복례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사람을 포함한 모든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것도 극기복례에 해당되며, 상대방을 해당되는 지위에 맞도록 대우해주는 것도 극기복례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우리도 항시 극기복례(克己復禮)정신으로 모든 일을 처리해 보자.

<국전서예초대작가·청곡서실운영·前대전둔산초교장>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