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연구개발특구 새모델
지역 자생 혁신플랫폼 구축
충남 등 하반기 지정 공략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국내 연구개발특구의 새로운 모델인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 출범이 목전으로 다가왔다.

이르면 이달 중순 첫 강소특구 지정 지역이 최종 발표될 전망인 가운데 각 지자체들의 긴장감도 고조되고 있다.

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 따르면 약 6개월의 심사기간을 마무리 하고 이달 중순경 ‘제1차 강소특구전문가위원회’ 회의를 소집할 예정이다.

강소특구는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지역의 자생·자족적 혁신플랫폼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특구의 신 모델이다. 규모는 작지만 기존 연구개발특구가 지닌 문제점을 보완하고, 대학·연구소·공기업·공공기관 등 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지역 혁신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강소특구 지역 지정을 위해 과기부는 지난해 7월 관계 법령을 정비하고, 지난 1월 전문가위원회를 발족했다. 올 상반기 심사 대상 지역은 충북(오창), 경북(포항), 경남(김해, 양산, 진주, 창원), 경기(안산) 등 4개 시·도 7개 지역으로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첫 출범을 앞두고 신청 지역들은 마치 수험표를 기다리는 수험생의 심정이다. 총 15명으로 구성된전문가위원회는 최근 현장 조사를 마친 후 관계부처와 협의를 진행 중인 상태며 이달 최종 발표만을 남겨놓고 있다. 충남·인천·서울·전남·전북 등 일각에서는 하반기 추가 지정 신청 준비에 착수하며 잰걸음을 하고 있다. 대덕연구개발특구 역시 ‘기능강화’ 등 상생모델로서의 강소특구와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강소특구 사업의 성공 열쇠는 역시 대덕특구와의 연계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내 신설된 강소특구지원팀은 현재 준비태세를 갖추고 첫 출범만을 기다리는 상황이다.

대덕특구에 숨겨진 무형적 인프라를 강소특구에 지원하는 여러 사업을 개발 중이며, 강소특구는 대덕특구 내 위치한 기관 및 출연연, 대학 등을 활용해 미흡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강소특구가 지자체 주도로 지역 산·학·연 네트워크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만큼 강소특구 지정 시·도와 대덕특구가 위치한 대전시의 행·재정 지원도 중요한 포인트다. 과학벨트 기능지구(신동, 둔곡, 도룡지구)와의 연계 방안도 빠른시일 내 구체화돼야 한다.

강소특구팀 관계자는 “그동안 지자체간 유치 경쟁이 치열했던 만큼 첫 출범되는 강소특구 지정 지역이 어디가 될 지 궁금하고 또 기대가 된다”며 “기존 연구개발특구가 보여하고 있는 다양한 인적·물적 시스템으로 강소특구를 지역의 혁신성장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