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마다 인구 감소 문제가 최대 화두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으로 머잖아 지역공동체가 아예 사라질 위기감에 휩싸여 있다. 인구절벽 현상은 농어촌 지역에만 한정되지 않고 대도시나 도청 소재지까지 확산되는 추세다. 정부와 각 지자체가 나름대로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하루아침에 해결될 사안도 아니다. 단순히 인구 증감만을 기준으로 접근하는 정책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충남만의 특화된 도시 유형별 맞춤형 공간정책 제안을 주목하는 이유다.

충남연구원 오용준 선임연구위원은 충남 15개 시·군의 2005년 대비 2015년의 인구 밀도와 인구 분포의 외곽 확산정도를 측정한 뒤 4개의 도시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에 맞는 14가지 정책 과제를 내놓았다. 예컨대 인구소멸지역인 공주시의 경우 도시 연담화 속에서 외곽인구가 늘고 있는 만큼 차별화된 성장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분류했다. 이를 위한 전략으로 압축, 연계, 적정 규모화 등 세 가지 모델이 제시됐다.

충남의 인구소멸위험도는 전남, 경북, 전북, 강원에 이어 전국 5번째를 기록하고 있다. 충북은 6번째다. 고용정보원이 지난해 6월 기준으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 228곳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89곳(2013년 75곳)이다. 매년 소멸위험지역이 늘어나면서 전체의 40%를 육박하고 있다. 충남은 10곳, 충북은 5곳이 소멸위험지역이다. 충남연구원은 2040년엔 충남 199개 읍면동 가운데 83.4%에서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향후 인구감소의 공간적 문제의 심각성을 경고해준다.

인구문제에 한 도시의 사활이 걸려 있다. 충남과 각 시·군에 적용하는 인구대책을 만들고, 충남도 내 지역별, 연령별, 성별 인구 구조와 인구이동 특성을 분석해 그에 맞는 인구 비전을 수립할 방침이라고 하니 기대할만 하다. 위기에 대응하는 맞춤형 전략의 방향은 일단 잘 잡은 것 같다. 인구정책의 기본방향과 장단기 대책을 잘 다듬어야 하겠다. 결국은 정주여건을 개선하여 사림이 모이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선순환적인 지역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