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연평균 7.6건 사고발생
道·市 대응책 개선…뒷북 행정
관리·감독·민관 체계 손 봐야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최근 잇따라 발생한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 내 화학물질 누출사고로 도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되자 관할 지자체들이 대응체계 개선에 나섰다.

유출사고 대응과정에 장시간이 소요되거나 위험성 여부를 가릴 사고 분류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았고 대다수의 주민에겐 상황 전파조차 이뤄지지 않는 등 미흡한 점이 속출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충남도와 서산시 등은 서둘러 정비에 나서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미 도내 화학사고가 연평균 7.6건(최근 5년)에 달할 정도로 빈번했던 만큼 ‘뒷북 행정’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26일 도 등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달 말까지 발생한 도내 화학사고는 총 38건으로 최근 벌어진 한화토탈 대산공장 유증기 누출과 KPX그린케미칼의 암모니아 누출사고를 합하면 40건에 달한다. 이 가운데 45%(18건)는 석유화학단지가 들어선 서산과 당진 등에 집중됐다.

앞서 지난 17일 한화토탈 대산공장에서는 스틸렌모노머(SM) 등이 포함된 유증기 110t(추정)이 누출돼 현장 근로자와 주민 수백명이 구토 증세와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았다. 또 22일에는 KPX그린케미칼에서 암모니아 10g 가량이 누출되면서 잇단 사고로 주민들이 불안에 떨어야 했고 지난달 18일에는 현대오일뱅크 대산공장 집유조에서 황하수소가 누출돼 근로자 1명이 숨진 사고와 함께 운송차량 사고로 강한 독성을 지닌 페놀 100ℓ가 대산읍 돚곶리 도로 위로 쏟아졌다.

특히 올해 1월에는 롯데케미칼BTX 사업장에서 1급 발암물질인 벤젠 5~6t이 누출되는 등 2014년부터 서산에서만 최소 13건의 사고가 발생했지만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전무했다는 게 지역민들의 설명이다. 앞서 지난달 페놀 누출 당시에는 주민들이 누출된 물질에 대한 사전 정보도 없이 3시간 가량 무방비 상태에 놓인 데다가 올해 초 시행된 서산시 화학물질 안전관리 조례도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논란이 일었다.

지역민들은 한화토탈 누출사고와 관련해서도 발생 이후 1시간 50분 동안 방재당국 간의 상황 전파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언론 보도를 통해 사고 소식을 접하게 된다는 점 등을 지적하며 대응시스템이 무용지물인 상태라고 소리 높였다.

특히 서산시가 앞서 한화토탈 유증기 누출사태로 재난문자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발생한 암모니아 누출사고에서도 일부 주민에게만 문자를 보낸 데다가 서산시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천안시 거주자에게 문자를 발송하기도 해 공분을 사고 있다.

산단 인근에 거주하는 한석화 오스카빌주민대책위원장은 “한화토탈 누출사고 전에는 단 한 번도 아파트 방송이나 문자를 받은 적이 없다”며 “아파트 주민들이 역한 냄새를 맡아 어지러움을 느끼는 상황이 벌어지면 원인을 직접 추적하기도 했는데 당일 저녁쯤이나 되서야 언론을 통해 유출사고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매년 사고가 되풀이 되면서 허점이 드러나고 있는 만큼 대응체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관리·감독 방식과 민관 감시체계도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도 관계자는 “지자체 차원에서 사고 발생 시 초동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집중된 관리·감독 권한의 지방 이양을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